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김승희 시에 나타난 욕망과 이데올로기의 문제The relationship between Desire and Ideology in Kim Seung-hee's poetry

Other Titles
The relationship between Desire and Ideology in Kim Seung-hee's poetry
Authors
이유정
Issue Date
Mar-2016
Publisher
한국사상문화학회
Keywords
김승희; 주체; 욕망; 상징계; 이데올로기; 비동일성; 분열; 탈주.; Kim Seung-hee; poetic subject; desire; symbolic; ideology; escape.
Citation
한국사상과 문화, no.82, pp 59 - 80
Pages
22
Journal Title
한국사상과 문화
Number
82
Start Page
59
End Page
80
URI
https://scholarworks.sookmyung.ac.kr/handle/2020.sw.sookmyung/10126
ISSN
1229-1749
Abstract
들뢰즈·과타리의 욕망론은 주체의 욕망이 새로운 이데올로기를 생산하는 가능성이 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본고는 들뢰즈·과타리의 욕망이론을 수용하여 1980년대 김승희 시에 나타난 주체, 이데올로기, 욕망의 연관 관계를 분석하고자 했다. 1980년대 김승희의 시는 억압하는 힘과 벗어나려는 힘 사이의 긴장관계에 주목하며 타자적 삶을 살아가는 주체들의 비판적 성찰을 담고 있다. 본고는 시인이 욕망과 이데올로기에 대한 상반된 관점을 드러내고 있다고 보고, 그의 시에 나타난 주체의 욕망에 대한 상징계의 작동에 주목하고자 했다. 우선 시인은 욕망이 생산되는 과정에서 무수한 코드화의 작용이 벌어짐을 보여준다. ‘국가-자본-가족’이라는 초코드화의 메커니즘은 시적 주체의 욕망을 상징계의 요구에 부합하도록 만든다. 이에 시적 주체들은 억압적 상징계가 절대적인 힘으로 작용하는 상황에서도 권력에 대한 반항력을 무의식 속에 감추거나 권력의 규율에 자발적으로 순응하는 태도를 보여준다. 주체들이 갖고 있는 비동일성의 의식은 기존의 상징계로부터 발생된 구조의 효과에 불과하기에 저항의 힘으로까지 이어지지 않는다. 한편, 김승희는 기존의 상징계와 상이한 코드의 시공간으로 탈주하는 시적 주체를 그려 내어 모든 인간이 지배담론의 이데올로기에 종속되기만 하는 존재는 아님을 반증한다. 시적 주체의 욕망이 만들어 내는 탈주의 공간들은 상징계들 간의 권력관계에 있어 열세에 있기 때문에 현실적으로는 무력하지만, 우리가 살아가는 상징계란 이질적이고 차이적인 힘들이 함께 공존해야 할 공간임을 말하고 있다. 김승희가 시적 주체의 욕망과 이데올로기의 관계를 그려내는 상반된 방법들은 우리 사회에 나타날 수 있는 다양한 주체의 유형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주는 한편, 1980년대 한국여성시의 표현면의 혁신을 보여주는 것이라 할 수 있다.
This study analyzes the subject, ideology, the desire of Kim Seung-hee's poetry. Kim Seung-hee's poetry has contained critical reflection on the life of others. The poet recognizes the practical requirements to prevent the success of the subject. This time Kim Seung-hee has an interest in the strength and power of resistance. Desires and ideology appears to be contradictory in 1980s Kim Seung-hee's poetry. This desire will arise in the process of producing the action of countless coded. overcoding mechanism is suppressed desire of the poetic subject. Poetic subject conceal the rebel forces to power in the unconscious. The poetic subject is adapted to power. Subject have the non-identity consciousness. But this is just the effect of the structure. Therefore, no power of resistance. Meanwhile, Kim Seung-hee writes poetic subject that escaped from the symbolic. This is the meaning of every human being does not depend on ideology. The disadvantage of breakout space than a symbolic one. So there is no real possibility of a breakout space. This means that not the absolute symbolic. It is a symbolic space of coexistence with the forces of heterogeneous and differences. This will help to understand the type of a variety of subjects. The innovative aspect of the expression of the 1980s female poetry.
Files in This Item
Go to Link
Appears in
Collections
문과대학 > 한국어문학부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