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신체활동 유형에 따른 만 5세 유아의 신체활동 역량 차이 비교A Comparative Analysis on Differences in Physical Activity Competencies based on the Physical Activity Types of Five-year-olds

Other Titles
A Comparative Analysis on Differences in Physical Activity Competencies based on the Physical Activity Types of Five-year-olds
Authors
공은숙김유미
Issue Date
Nov-2020
Publisher
미래유아교육학회
Keywords
Physical Activity Competencies; Elective Physical Activities; Children-led Physical Activity; 신체활동 역량; 자유선택 신체활동; 유아 주도적 신체활동
Citation
미래유아교육학회지, v.27, no.4, pp.111 - 139
Journal Title
미래유아교육학회지
Volume
27
Number
4
Start Page
111
End Page
139
URI
https://scholarworks.sookmyung.ac.kr/handle/2020.sw.sookmyung/1035
DOI
10.22155/JFECE.27.4.111.139
ISSN
1229-3083
Abstract
본 연구는 유아가 주도하는 자유선택 신체활동과 교사가 계획한 신체활동을 실시한 두 집단의 신체활동 역량의 차이를 살펴보고 나아가 유아기 신체활동 활성화와 2019개정 누리과정 적용을 위한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경기도 K유치원 5세 유아 2학급을 임의로 실험집단(25명)과 통제집단(24명)으로 구성하여 8주 간 15회의 신체활동을 각각 실시하였다. 각 회기별로 실험집단은 유아가 주도적으로 놀이와 교구를 선택하여 자유롭게 신체활동을 하였고, 통제집단은 교사가 계획한 대집단 기반 신체활동 프로그램을 적용한 후 기본움직임 기술, 신체활동 태도, 신체활동량을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신체활동 역량을 구성하는 기본움직임기술 중 점핑, 정적균형, 던지기와 차기에서 실험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해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신체활동 태도 중 선호도, 즐거움에서 실험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해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실험집단의 신체활동량이 통제집단보다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유아교육기관에서 이루어지는 신체활동의 목표를 유아의 성장발달과 건강증진 뿐만 아니라 신체활동의 포괄적인 측면인 신체역량 발달로 볼 때 유아가 자유롭게 신체활동의 방법과 내용을 선택하고 주도적으로 움직일 수 있는 신체활동 방식이 효과가 있음을 보여준다. 이를 통해 유아가 주도하는 자유로운 놀이 중심 교수방법의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고 실효성을 검증하였다는 의의가 있다.
Files in This Item
Go to Link
Appears in
Collections
특수대학원 > 교육대학원 > 유아교육전공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Kim, Yu Mi photo

Kim, Yu Mi
교육대학원 (유아교육전공)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