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범죄피해자 권리 안내문」의 이해도 비교연구: 2019년 개정 전․후를 중심으로Comprehension of「Crime Victims’ Rights Guide」: Focused on Before and After the 2019 Revision

Other Titles
Comprehension of「Crime Victims’ Rights Guide」: Focused on Before and After the 2019 Revision
Authors
박송희김민지
Issue Date
Nov-2020
Publisher
한국법심리학회
Keywords
개정 전․후 범죄피해자 권리 안내문; 객관적 및 주관적 이해도; 학력 수준; 지각된 스트레스; 정책적 제언; Before and After Revision Crime Victims’ Rights Guide; Objective and Subjective Comprehension; Level of Educational; Perceived Stress; Policy Implication
Citation
한국심리학회지:법, v.11, no.3, pp 241 - 265
Pages
25
Journal Title
한국심리학회지:법
Volume
11
Number
3
Start Page
241
End Page
265
URI
https://scholarworks.sookmyung.ac.kr/handle/2020.sw.sookmyung/1049
ISSN
2093-3843
Abstract
본 연구는 2019년 하반기를 기준으로 개정되어 현재 사용하고 있는 개정 후 범죄피해자 권리 안내문이 개정 전과 비교하여 일반인들의 범죄피해자 권리 이해도를 향상시키는지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더불어 학력 수준과 지각된 스트레스가 범죄피해자 권리 안내문과 함께 범죄피해자 권리 이해도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성인 남녀 289명을 대상으로 연구자료를 수집 및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전반적으로 개정 전과 비교하여 개정 후 범죄피해자 권리 안내문을 읽은 조건에서 객관적 범죄피해자 권리 이해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주관적 범죄피해자 권리 이해도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개정 전․후 범죄피해자 권리 안내문과 학력 수준의 상호작용 효과는 객관적 범죄피해자 권리 이해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정 전․후 범죄피해자 권리 안내문이 주관적 범죄피해자 권리 이해도에 미치는 영향은 지각된 스트레스에 의해 부적으로 조절되는 경향성이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정책적 제언을 논의하였으며, 본 연구의 한계점과 더불어 후속 연구를 제언하였다.
Files in This Item
Go to Link
Appears in
Collections
사회과학대학 > 사회심리학과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Kim, Min Chi photo

Kim, Min Chi
사회과학대학 (사회심리학과)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