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로레틴(Phloretin)의 혈관내피수축 융합효과와 관련기전 연구The Convergence Effect of Phloretin Existent in Plants on Vascular Contractility
- Other Titles
- The Convergence Effect of Phloretin Existent in Plants on Vascular Contractility
- Authors
- 방준석; 제현동; 민영실
- Issue Date
- Oct-2020
- Publisher
- 중소기업융합학회
- Keywords
- Endothelium; Convergence; Phloretin; Vasoconstriction; ROCK(Rho-associdated; coiled-coil containing protein kinase); 내피; 융합; 플로레틴; 혈관수축; ROCK(Rho연관 인산화효소)
- Citation
- 융합정보논문지, v.10, no.10, pp 143 - 149
- Pages
- 7
- Journal Title
- 융합정보논문지
- Volume
- 10
- Number
- 10
- Start Page
- 143
- End Page
- 149
- URI
- https://scholarworks.sookmyung.ac.kr/handle/2020.sw.sookmyung/1091
- DOI
- 10.22156/CS4SMB.2020.10.10.143
- ISSN
- 2586-1816
2586-4440
- Abstract
- 이 실험에서 뇌졸중, 심혈관계 질환 등에 대해 치료 활성이 기대되는 플로레틴(phloretin) – 사과나무 잎과 개살구의 주성분 - 에서의 쥐의 대동맥에서 ROCK(Rho연관 인산화효소) 불활성화를 통해 혈관수축을 억제한다는 기전을 확인하고자 한다. 개체에서 분리되고 내피가 유지되거나 손상된 동맥의 고리 조각은 2개의 금속 고리로 근운동기록기(myograph) 수조안에 현수되었고 아래쪽 고리는 수조바닥에 고정되었고 위쪽 고리는 등장력 변환기에 연결되었고 등장력 변환기의 전기적 신호는 생리측정기에 표시되었다. 재미있게도 플로레틴은 수축약 (fluoride, phorbol ester)에 의한 혈관 수축을 억제하여 ROCK 또는 MEK(마이토겐 활성화 단백질 키나제 키나제) 비활성화 같은 경로가 혈관이완에 관여할 수 있음을 보였다. 따라서 phloretin은 내피가 완전한 혈관에서의 내피에 의존적인 작용 외에 추가적으로 내피에 비의존적으로 평활근에서 ROCK 또는 MEK 활성 감소에 참여하여 결과적으로 평활근에서 액틴-미오신 상호작용을 억제하여 혈관을 이완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또한 phloretin은 thromboxane A2 유도수축을 억제하고 ROCK 및 MEK 억제를 포함하는 기전있음을 주장합니다.
- Files in This Item
-
Go to Link
- Appears in
Collections - 약학대학 > 약학부 > 1. Journal Articles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