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문화기반 마을공동체 정책대상자의 인식, 정서, 역량에 대한 연구A Study on the Perception, Emotion and Capacity of Cultural-Based Community’s Policy Target Groups

Other Titles
A Study on the Perception, Emotion and Capacity of Cultural-Based Community’s Policy Target Groups
Authors
송안나김세준
Issue Date
Nov-2020
Publisher
한국예술경영학회
Keywords
문화기반 마을공동체; 정책집행; 공동체 의식; 공동체 역량; 문화활동; Cultural-Based Community; Policy Implementation; Sense of Community; Community Capacity; Cultural Activities
Citation
예술경영연구, v.56, pp 5 - 38
Pages
34
Journal Title
예술경영연구
Volume
56
Start Page
5
End Page
38
URI
https://scholarworks.sookmyung.ac.kr/handle/2020.sw.sookmyung/1131
ISSN
1598-3870
Abstract
본 연구는 문화기반 마을공동체가 어떻게 고유의 공동체 문화를 형성하고, 지속가능한 성숙한 공동체가 되는지 파악하기 위해 정책대상자의 인식, 정서, 역량에 대해살펴보았다. 공동체의 개념, 공동체 성장요인 및 성장단계, 문화활동, 그리고 정책집행이론에 대한 선행연구를 살펴보고, 문화기반 마을공동체 사업에 적합한 정책집행 분석모형을 도출하였다. 연구방법은 질적사례연구방법을 채택하였고, 연구대상은 안산 사동 ‘감골주민회’, 안산 대부동 ‘상동공동체’, 안동 신세동 ‘그림애문화마을’ 로 문화기반 마을공동체의 성공사례를 선정하였다. 심층인터뷰와 문헌분석, 직접관찰을 통해 얻은 자료를 로버트 인(2009)이 제시한 패턴매칭, 사례통합 분석기법을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정책대상자는 공동체 활동을 통해 신뢰와정서적 친밀감, 소속감을 느끼는 정서적 변화를 겪으며, 지역에 대한 애착심이 향상되었다. 둘째, 정책대상자의 공동체 의식과 공동체 역량이 성장에 중요한 요인으로나타났다. 공동체 활동을 통해 참여유도, 상호교류, 역량강화, 파트너쉽의 단계를거치며 성장해나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다양한 창의적 문화활동을 통해스스로를 표현하면서 자신을 재발견하고, 타인과 소통하면서 마을공동체의 공통적고민과 사회적 문제를 해결하는 경험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문화기반마을공동체에 대한 생태학적 접근 연구를 기반으로 정책집행 분석 모형을 도출하였고, 문화기반 마을공동체의 사례를 분석하여 공동체의 성장 방향성과 실천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Files in This Item
Go to Link
Appears in
Collections
문과대학 > 문화관광외식학부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Kim, Sae June photo

Kim, Sae June
문과대학 (문화관광외식학부)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