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목 특수성에 따른 교사의 동기부여와 학생의 자기효능감이 학생의 내재동기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종단 연구Longitudinal Study of the Effect of Teacher's Motivation and Student's Self-efficacy on Student's Intrinsic Motivation in accordance with Domain-specify
- Other Titles
- Longitudinal Study of the Effect of Teacher's Motivation and Student's Self-efficacy on Student's Intrinsic Motivation in accordance with Domain-specify
- Authors
- 윤선영; 임선아
- Issue Date
- Sep-2013
- Publisher
- 한국교육학회
- Keywords
- 교사의 동기부여; 자기효능감; 내재동기; 이차 잠재성장모형; 종단연구; teacher's motivation; student's self-efficacy; student's Intrinsic motivation; second-order latent growth modeling; longitudinal study
- Citation
- 교육학연구, v.51, no.3, pp 267 - 293
- Pages
- 27
- Journal Title
- 교육학연구
- Volume
- 51
- Number
- 3
- Start Page
- 267
- End Page
- 293
- URI
- https://scholarworks.sookmyung.ac.kr/handle/2020.sw.sookmyung/11530
- ISSN
- 1225-4150
2713-5926
- Abstract
- 본 연구는 교사의 동기부여와 학생의 자기효능감, 내재동기의 관계에 대한 보다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과목 특수성에 따른 교사의 동기부여와 학생의 자기효능감이 내재동기에 미치는 인과관계를 종단적 자료에 근거하여 시간의 경과에 따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교사의 동기부여와 학생의 자기효능감 및 내재동기들 간의 구조적 관계가 영역(과목)에 따라, 시간의 경과에 따라서 어떻게 변화하는지 보기위해 이차 잠재성장모형을 사용한 종단연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의 동기부여와 학생의 자기효능감과 내재동기는 학생들의 학년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다. 둘째, 교사의 동기부여는 학생의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며 자기효능감은 내재동기에 영향을 미치게 되는데 이러한 변인간 관계성은 시간의 변화에 따라, 과목특수성에 따라 유사하게 나타났다. 즉 국어, 영어, 수학 과목 모두에서 교사가 동기부여를 할수록 학생의 자기효능감의 초기값이 높을 뿐 아니라 자기효능감의 감소율이 낮아지며 자기효능감의 초기값이 높으면 내재동기의 초기값이 높을 뿐 아니라 시간이 경과함에 따른 내재동기의 감소가 낮아지게 되는 결과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교사가 동기부여를 하는 교수적 방법을 통해 학생들의 주요과목에 대한 자기효능감을 높이고 또한 과목에 대한 흥미와 몰입을 나타내는 내재동기에 영향을 미치도록 노력해야 함을 시사하였다.
- Files in This Item
-
Go to Link
- Appears in
Collections - 특수대학원 > 교육대학원 > 1. Journal Articles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