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선거 후보 지지도 조사 결과에 대한 여론분위기 지각과 감정 반응이 유권자 정치참여에 미치는 효과 연구A Study on the Effect of the Perceived Climate of Opinion and the Emotional Responses to the Poll Reporting on Political Participation
- Other Titles
- A Study on the Effect of the Perceived Climate of Opinion and the Emotional Responses to the Poll Reporting on Political Participation
- Authors
- 양승찬; 서희정
- Issue Date
- Jun-2013
- Publisher
- 한국지역언론학회
- Keywords
- poll reporting; emotion; political participation; spiral of silence; 여론조사; 의견분위기 지각; 감정; 침묵의 나선 이론; 정치참여
- Citation
- 언론과학연구, v.13, no.2, pp 227 - 260
- Pages
- 34
- Journal Title
- 언론과학연구
- Volume
- 13
- Number
- 2
- Start Page
- 227
- End Page
- 260
- URI
- https://scholarworks.sookmyung.ac.kr/handle/2020.sw.sookmyung/11613
- ISSN
- 1598-2653
- Abstract
- 본 연구는 노엘레-노이만의 침묵의 나선 이론을 토대로 다수 및 소수의 의견을전달하는 여론조사결과 기사를 통해 의견분위기를 지각하는 것과 이에 대한 개별감정 반응이 정치참여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았다. 구체적으로 정치참여는 공개적 의견표명과 사적 정치참여로 구분하였으며, 개별 감정은 크게 긍정 감정(‘기쁨’, ‘희망’), 부정 감정(‘슬픔’, ‘분노’) 등의 4가지 유목으로 나누었다. 이 연구는 18대 대통령 선거 캠페인 당시 20대의 큰 지지를 받았던 무소속 안철수 예비후보와 새누리당 박근혜 후보 지지자(여대생 n=329명)를 대상으로 신문 여론조사결과 기사를 실험자극으로 활용하여 실시되었다.
연구 결과, 다수/소수에 대한 의견분위기 지각과 정치참여 간에는 기존의 침묵의나선 이론에서 논의되었던 것과 달리 관련성이 발견되지 않았다. 지지 후보자에 따른 여론조사결과 기사에 대한 감정 반응의 경우 긍정 감정을 느낀 박근혜 후보 지지자들 중 기쁨 감정과 희망 감정 간에 차이가 있었으며, 박근혜 후보와 안철수 후보 지지자 간에는 희망 감정과 슬픔 감정의 정도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발견되었다. 한편, 여론조사를 통해 유발된 감정이 후속 정치참여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 상대적으로 긍정 감정을 느낀 사람들이 공개적인 의견표명을 더 많이 하는 반면, 부정 감정을 느낀 사람은 사적 정치참여를 더 활발히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여론조사를 통해 다수/소수에 대한 의견분위기 지각과감정, 정치참여 간의 관계를 진단하면서 미디어를 통한 집합적 정치 현실의 지각후 발생한 감정의 중요성을 정치커뮤니케이션 효과와 연결하여 제시하고자 하였다.
- Files in This Item
-
Go to Link
- Appears in
Collections - 미디어학부(대학) > 미디어학부 > 1. Journal Articles
![qrcode](https://api.qrserver.com/v1/create-qr-code/?size=55x55&data=https://scholarworks.sookmyung.ac.kr/handle/2020.sw.sookmyung/11613)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