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르네 지라르의 ‘욕망의 삼각형’을 통한 <기생충>의 재해석Reinterpretation of Parasite through the Triangle of Desire by René Girard

Other Titles
Reinterpretation of Parasite through the Triangle of Desire by René Girard
Authors
김시무황영미
Issue Date
Sep-2020
Publisher
한국영화학회
Keywords
René Girard’s concept of desire; Triangular desire; Parasite; Bong Joon Ho; Mediator; Internal mediation; External mediation; Obliteration of difference; 지라르의 욕망이론; 욕망의 삼각형; 기생충; 봉준호; 중개자; 내적 중개; 외적 중개; 차이 소멸
Citation
영화연구, v.85, pp 293 - 319
Pages
27
Journal Title
영화연구
Volume
85
Start Page
293
End Page
319
URI
https://scholarworks.sookmyung.ac.kr/handle/2020.sw.sookmyung/1204
DOI
10.17947/FS.2020.9.85.293
ISSN
1598-9682
Abstract
이 논문은 르네 지라르의 ‘욕망의 삼각형’이라는 개념틀로 봉준호 감독의 <기 생충>을 분석한 것이다. 지라르의 전제는 욕망의 주체는 대상을 직접적이고 자발 적으로 욕망하는 것이 아니라 반드시 중개자(仲介者)를 통해서 모방한다는 것이 다. 극중기우가박사장의딸다혜를사랑하게된것은민혁이란중개자를통해 서였다. 그런데 이 모방욕망은 전염성을 가지고 있다. 다혜의 입장에서 볼 때, 그 녀가 기우에게 적극적일 수 있었던 것은 아이러니컬하게도 기정의 존재 때문인영화 데, 이는 다혜가 기정을 기우의 여자친구로 오인하는 데서 분명하게 드러난다. 다혜에게는 기정이 욕망의 중개자로 등장한 셈이다. 기택과 근세도 동익을 둘러싸고 결국 상호 중개를 통한 ‘욕망의 삼각형’을 형성하게 되는데, 지하벙커에 살면서 박사장에게 존경을 표하던 근세의 행동을 기 택이 나중에 그대로 모방하게 되는 것이다. 충숙과 문광도 연교를 둘러싸고 역시 상호 중개를 통한 ‘욕망의 삼각형’을 형성하게 되는데, 사모님처럼 보였던 문광의 행보를 나중에 충숙이 그대로 모방하게 되는 것이다. 이처럼 근세와 문광은 욕망 의 중개자로 각각 기택과 충숙의 모방욕망을 부추겼던 것이다. 가족 구성원 개개인을 집단으로 확대하면 ‘욕망의 삼각형’은 보다 분명한 형태 로드러난다. 즉기택네가족은문광과근세부부의중개를통해서박사장가족 을욕망의대상으로삼게된것인데, 모방적경쟁으로인한갈등이증폭되고결 국 양자 간의 차이가 소멸되면서 파국을 맞게 된다. <기생충>은 모방 욕망의 실 현장이라도 되는 것처럼 지라르의 욕망이론에 잘 부합하는 텍스트라는 것이 이 글의 핵심논지이다.
This paper utilizes the framework of ‘triangular desire’to analyze the film, “Parasite”, directed by Bong Jun Ho. The basis of Girard’s idea is that a desire for an object is not the result of direct and autonomous attachment, but rather as a form of mimicry of a subject of desire, also referred to as a mediator. It was Min-Hyuk that acted as a mediator when Ki-woo fell in love with Da-hye, the daughter of Mr. Park. What is notable about such mimetic desire is that it is contagious. In Da-hye’s perspective, it was ironically the existence of Ki-jung, whom she mistook as Ki-woo’s girlfriend, that led her to be so enthusiastic towards Ki-woo. For Da-hye, Ki-jung was the mediator for her desire for Ki-woo. Ki-taek and Geun-sae also form a frame of triangular desire through their mutual mediation around Mr. Park. We can witness this when Ki-taek later adopts the exact ritual that Geun-sae practiced in the underground bunker when expressing his respect for Mr. Park. In the same sense, Chung-sook and Moon-gwang form another triangular desire revolving around Yeon-gyo, observable when Chung-sook later adopts the pretentious manners previously embodied by Moon-gwang. In a sense, it was Geun-sae and Moon-gwang that respectively indulged the mimetic desires of Ki-tae and Chung-sook. The frame of triangular desire becomes even more visible when we group individual characters into families. It can be observed that the mediation of Moon-gwang and Geun-sae led to the Kims perceiving the Parks as a target of desire. Eventually, conflict arising from mimetic competition is escalated to a point where difference is obliterated, and everything falls apart. This paper underlines how well the film ‘Parasite’ fits into Girard’s concept of desire, as if it was a case study for mimetic desire.
Files in This Item
Go to Link
Appears in
Collections
대학 > 기초교양대학 > 기초교양학부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