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문정희 시의 양성평등의식 연구Gender Equality in Junghee Moon's Poems

Other Titles
Gender Equality in Junghee Moon's Poems
Authors
구명숙
Issue Date
Jan-2012
Publisher
한국사상문화학회
Keywords
life; freedeom; inequality; feminist; feminity; masculinity; wilde nature; ecofeminism; civilized society; coexsistence; gender equality; community.; 생명; 자유; 차별; 페미니스트; 여성성; 남성성; 야성; 에코페미니즘; 문명사회; 상생; 양성평등; 공동체.
Citation
한국사상과 문화, no.61, pp 77 - 97
Pages
21
Journal Title
한국사상과 문화
Number
61
Start Page
77
End Page
97
URI
https://scholarworks.sookmyung.ac.kr/handle/2020.sw.sookmyung/12351
ISSN
1229-1749
Abstract
문정희는 1969년 「월간문학」에 시인으로 데뷔한 후 다양한 시창작 활동을 펴 오면서 그리움, 사랑, 생명, 자연, 자유, 불평등 등의 인간 삶의 모습을 현장감 있는 시어로 담아내어 주목을 받아왔다. 그의 작품들의 영역 속에는 사회적 모순 속에 여러 가지 형태로 내재해 있는 여성문제들을 포착해 내고 여성주의적feminism 시각에서 올바른 전망을 제시하려는 움직임을 보여 왔다. 곧 억압받는 여성들의 공통된 관심사를 체계적으로 이해하면서 사회적 경험과 지각 방식을 보편적인 것으로 표준화하려는 태도를 근절시키고자 하였다. 또한 페미니스트로서 여성적인 것의 특수성이나 정당한 차이를 정립하고자 하는 안목과 의지, 여성 억압에 대한 관심에서 출발하여 억압과 차별을 타파하고 마침내 양성평등실현을 통한 상생과 공존의 지향점을 제시하고 있는 점을 발견할 수 있다. 본고에서는 문정희 시의 이러한 특성을 그의 생태여성주의 시작품들과 시집 『남자를 위하여』를 주 대상으로 그의 시에 나타난 양성평등의식을 살펴보았다. 문정희의 시에 나타난 여성성과 남성성의 본질은 자연스러움 그 자체라 할 수 있다. 당당한 그의 목소리들은 차별받는 여성의 처지만을 노래하지 않고 부드러움과 생명력 등 여성의 본성을 드러내고 있다. 또한 종전의 페미니즘 작품들과는 달리 투박하고 활력 있는 남성성을 존중하며 그들을 향해 손을 내밀어 공존을 모색하고 있다는 데에 그 특성이 있다. 아울러 생태여성주의Ecofeminism 시가 담고 있는 여성과 남성 그리고 자연에 대한 논의를 통해 자본주의적 가부장제의 남성중심적이고 이성중심적인 현실 세계의 문제점들을 보다 명확히 인식하고 생태적 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정신적, 실천적 방향이 양성평등을 실현하는 것으로 파악된다. 생태여성주의의 성격을 가장 잘 드러내고 있는 문정희 시인은 여성은 그들이 지닌 생물학적 본성을 자연스러운 것으로 인식한다는 점에서 여성적인 힘에 대한 자기 긍정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진정한 여성의 힘을 원시적 자연성에서 찾고 있다. 인간은 야성의 자연을 지배하기 위하여 자연의 야성을 인간이 다스려야 할 것으로 규정지었을 뿐만 아니라 문명사회는 야성의 인간에게도 야만이라는 이름을 붙여 거세하였다. 문정희는 이 같은 왜곡된 현상이 자연스러운 본성을 망각한데서 온 것이라고 생각한다. 인위적인 제도와 관습이 개입하기 이전의 사회에서 남성과 여성은 동등한 권리와 자격을 가진 양성이며, 원시적인 생명의 건강성이야말로 가장 본성에 가까운 생활이라는 것을 일깨우고 있다. 문정희의 시 「다시 남자를 위하여」에서 보여주는 왜소하고 무력해진 남성성에 대한 질타와 회복의 소망은 남녀 구분 이전의 보다 원초적인 인간과 자연을 꿈꾸고 있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그런데 이런 야성의 남성들을 사라지게 한 것은 획일적 여권 운동가들에게도 책임이 있다고 말한다. 문정희는 남성 또한 이데올로기의 희생자일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으며 야생성을 간직하고 있는 남성성과 다산의 원시성을 간직한 여성과 상통하는 것으로 본다. 생명적 고리를 지속시키기 위해 필요한 것은 남성과 여성이 하나의 공동체를 이루는 조화와 평화의 세계인 양성평등한 사회임을 제시한다.
Junghee Moon, who made her debut as a poet in 1969 through Monthly Literature, has attracted public attention for her vivid writing. She is known for her works that capture broad spectra of human life such as longing, love, life, nature, freedom, and inequalities. What underlies her works are feministic movements to provide proper prospects to various women's issues within social ironies. She attempts to make the society understand common interests of oppressed women thoroughly and systematically, with the purpose of eradicating the attitude which standardizes and generalizes social experiences and cognitions. Moon also actively communicates her ideologies as a feminist; she starts from the insight and the will to establish social conscience and recognition of legitimate differences and distinct characteristics of women and continues on to overthrow gender oppression and discrimination. Finally, Moon proposes a directing point for achieving gender equality. This paper examines Moon's poetical works, primarily "For Man," as well as her ecofeministic works. The essence of masculinity and feminity in Moon's poems are utterly natural; her bold voice not only sings of devastating situations of discriminated women but also expresses softness and vitality of women's nature. Unlike former feministic works, she respects rustic, lively masculinity as well and seeks for respectful coexistence among men and women. Through contemplation on women, men, and the nature that are explored in her ecofeministic poems, the artist suggests precisely contemporary issues rooting from capitalism and patriarchy. Moon indicates that conceptual, mental, and practical exertion to overcome ecologic crisis will also achieve the gender equality. In Moon's assertion, women has positive power of self-affirmation; they recognize their biological nature as natural human essence. Moon finds such essential power of women from their primeval nature. Human beings defines the nature as subject of regulation; civilized societies had emasculated untamed human, naming them barbarians. Moon expresses that these distorted phenomena are originating from oblivion, one of natural essence of human beings. Moon insists that women and men had been granted equal rights and qualifications before artificial customs and institutions intervened, and that such healthy, primeval life is the closest to the human nature. Rebuking of impotent and diminutive masculinity in Moon's poem "Again For Man" is understood as longing for basic human and the nature before gender separation. However, she also says that some feminist also holds responsibility for extinction of such wild-natured man, for they degraded and weakened men's masculinity. Unordinarily, women stand as the assailant rather than victim. Moon does not ignore the possibility for men to be victims of ideologies; she finds commonness in wild masculinity and premieral feminity. Conclusively, Moon suggests that gender-equal society in which men and women form one unified community is the essential to peacefully maintain the ecological chain.
Files in This Item
Go to Link
Appears in
Collections
문과대학 > 한국어문학부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