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Role of Philosophy for the Field of Physical Education
- Authors
- 신현군
- Issue Date
- Dec-2011
- Publisher
- 한국체육철학회
- Keywords
- 체육; 철학; 체육철학; Physical Education; Philosophy; Philosophy of Physical Education; Physical Education; Philosophy; Philosophy of Physical Education
- Citation
- 움직임의 철학 : 한국체육철학회지, v.19, no.4, pp 205 - 220
- Pages
- 16
- Journal Title
- 움직임의 철학 : 한국체육철학회지
- Volume
- 19
- Number
- 4
- Start Page
- 205
- End Page
- 220
- URI
- https://scholarworks.sookmyung.ac.kr/handle/2020.sw.sookmyung/12786
- ISSN
- 2671-6755
2671-6356
- Abstract
- 본 연구의 목적은 체육에서의 철학의 역할을 조명하고, 현재 체육철학의 학문적 성향을 비판적으로 분석하는 것이다. 1960년대부터 1990년대까지의 미국에서의 체육 철학의 학문적 성과와 동향을 연구의 초점으로 삼았으며 이 시기에는 학문적 명칭이 스포츠철학보다는 체육철학이라는 용어가 주로 사용되어졌다. 이 시기에 발행되었던 체육철학과 관련된 저서, 논문, 학회지 등이 비판적으로 고찰되었다. 다음의 사항들이 본 연구의 결과로서 명료화되었다. 첫째, 체육의 본질, 목적 및 목표, 접근법, 태도, 문제점 해결 등에 있어서 채육의 분야는 다양한 형태의 철학적 방법들을 활용해 왔으며 철학의 주요담론인 형이상학적, 인식론적, 윤리적 및 미학적 차원에서 연구가 형성되었으며 이 같은 시도는 체육의 이론적 및 방법론적 방안들을 형성하는데 도움이 되어왔다. 둘째, 학문적 속성과 특성이 서로 상이한 체육과 철학의 기능과 역할에 대한 체육철학자들 간의 논쟁은 체육철학의 학문적 정체성을 형성하기 위한 담론의 형태로 전개되었으며, 체육철학은 철학을 체육의 관점에서 논의하는 것이 아니라 체육을 철학적 관점에서 연구하는 분야로서 정착되어야 함이 지속적으로 제기되어왔다. 셋째, 체육철학의 학문적 역사는 1960년대부터 본격화되었으며, 학술적 특성과 동향은 크게 태동기, 형성기, 창조기 등의 세 단계를 거쳐서 형성되었다. 이 시기에 다양한 서양 철학사조와 함께 동양철학 및 유럽의 현상학적 전통이 유입되어 체육철학의 연구방법에 유용한 수단을 제공하였다. 넷째, 이 시기에 있어서 미국 체육철학의 학문적 특성과 동향으로서 다음의 네 가지 사항들이 부각되었다고 할 수 있다 - 1) 교육철학에의 근거 및 의존, 2) 동양철학과 현상학적 전통의 영향, 3) 인본주의적 성향의 철학에의 편향, 4) 새로운 철학적 성향을 추구하기 위한 시도.
- Files in This Item
-
Go to Link
- Appears in
Collections - 이과대학 > 체육교육과 > 1. Journal Articles
![qrcode](https://api.qrserver.com/v1/create-qr-code/?size=55x55&data=https://scholarworks.sookmyung.ac.kr/handle/2020.sw.sookmyung/12786)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