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전자음악에 대한 매체철학적 연구 -쇤베르크의 한계를 넘어서-Media-philosophical Study on the Electronic Music

Other Titles
Media-philosophical Study on the Electronic Music
Authors
박영욱
Issue Date
Sep-2011
Publisher
한국철학사상연구회
Keywords
전자음악; 쇤베르크; 구체음악; 매체철학; 바레즈; 슈톡하우젠; 아도르노; Electronic Music; Twelve-note system; Stockhausen; Atonality; Musique concrète
Citation
시대와 철학, v.22, no.3, pp 85 - 114
Pages
30
Journal Title
시대와 철학
Volume
22
Number
3
Start Page
85
End Page
114
URI
https://scholarworks.sookmyung.ac.kr/handle/2020.sw.sookmyung/12844
ISSN
1227-2809
Abstract
음악에서 새로운 재료는 단순한 질료가 아닌 형식화된 질료를 의미한다. 말하자면 재료 자체가 이미 형식적 규정을 가지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음악에서의 새로운 재료는 새로운 형식의 출현을 의미한다. 아도르노는 쇤베르크의 음악이야말로 전통의 재료를 와해시킨 새로운형식의 혁명적인 음악으로 간주한다. 왜냐하면 무조음악에 바탕을 둔 그의12음 기법은 전통적인 음악의 형식적 토대인 조성음악의 해체를 의미하는것으로 평가하였기 때문이다. 그러나 12음 기법의 재료는 아도르노의 평가와 달리 전통 재료와 완전히 단절된 것이라 할 수 없다. 이는 그가 전통적인조성을 거부하지만 여전히 범조성을 추구하는 데서도 알 수 있다. 전통적인 재료와 다른 재료는 개별 음 자체의 미시적인 차원에서 음악을 다루는 전자음악에서 발견된다. 전자악기에 의해서 합성된 음은 전통적인 음악적 관점에서 볼 때 음이 아닌 소음이며, 이러한 합성된 음을 연결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음악적 형식으로서는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Files in This Item
Go to Link
Appears in
Collections
대학 > 기초교양대학 > 기초교양학부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Park, Young Wook photo

Park, Young Wook
기초교양대학 (기초교양학부)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