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생의 학습몰입과 자기효능감이 대학생활적응과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The Effect of Flow on Learning and Self-efficacy on College Adapta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in Undergraduate Students
- Other Titles
- The Effect of Flow on Learning and Self-efficacy on College Adapta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in Undergraduate Students
- Authors
- 이숙정
- Issue Date
- Jun-2011
- Publisher
- 한국교육심리학회
- Keywords
- 학습몰입; 자기효능감; 대학생활적응; 학업성취; Flow on Learning; Self-efficacy; College Adaptation; Academic Achievement
- Citation
- 교육심리연구, v.25, no.2, pp 235 - 253
- Pages
- 19
- Journal Title
- 교육심리연구
- Volume
- 25
- Number
- 2
- Start Page
- 235
- End Page
- 253
- URI
- https://scholarworks.sookmyung.ac.kr/handle/2020.sw.sookmyung/12939
- ISSN
- 1225-4290
- Abstract
-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자기효능감과 학습몰입이 대학생활적응 및 학업성취와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를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경북지역에 소재한 4년제 대학교에 재학 중인 298명(남:136명, 여: 162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고 각 변인들 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배경변인별 기술통계 분석결과, 대학생들이 지각한 학습몰입은 성별에 따른 차이는 없었으나 학년별 차이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효능감의 경우 남학생이 지각한 자기효능감이 여학생의 경우보다 조금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년별 차이는 없었다. 대학생활적응은 성별, 학년별 차이가 모두 유의하지 않았다. 변인들 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학습몰입, 자기효능감, 대학생활적응, 그리고 학업성취 간의 상관관계 분석 결과, 모두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하위요인 중 자기조절효능감과 학업적응이 학습몰입과 상관이 높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학습몰입과 자기효능감이 대학생활적응과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구조모형 분석 결과, 학습몰입은 자기효능감과 대학생활적응 및 학업성취와의 관계에서 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자기효능감은 동기관련 변인으로서 학습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학습몰입은 대학생활적응과 학업성취를 예측하는 유의한 변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학생들이 학습에 몰입할 수 있는 적절한 학교환경과 제도적 지원의 필요성을 시사하고 있다.
- Files in This Item
-
Go to Link
- Appears in
Collections - 대학 > 기초교양대학 > 기초교양학부 > 1. Journal Articles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