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자본 진입이 중국상업은행 주가에 미친 영향Market Response on Foreign Capital Influx Announcement to Chinese Commercial Bank
- Other Titles
- Market Response on Foreign Capital Influx Announcement to Chinese Commercial Bank
- Authors
- 권일숙; 설원식
- Issue Date
- Apr-2011
- Publisher
- 대한경영학회
- Keywords
- Chinese Commercial Bank; Foreign Investment; Event Study; Announcement Effect; Cross-Sectional Regression; 중국상업은행; 외국자본 진입; 사건연구; 공시효과; 횡단면 분석; Chinese Commercial Bank; Foreign Investment; Event Study; Announcement Effect; Cross-Sectional Regression
- Citation
- 대한경영학회지, v.24, no.2, pp 1051 - 1070
- Pages
- 20
- Journal Title
- 대한경영학회지
- Volume
- 24
- Number
- 2
- Start Page
- 1051
- End Page
- 1070
- URI
- https://scholarworks.sookmyung.ac.kr/handle/2020.sw.sookmyung/12980
- ISSN
- 1226-2234
2465-8839
- Abstract
- 중국 금융시장의 개방과 더불어 중국상업은행에 대한 외국인투자자의 지분매입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외국자본 진입공시가 중국상업은행 주가에 미친 단기성과에 관심을 두고 공시효과와 그 결정요인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1996~2010년 동안 주식시장에 상장된 중국상업은행 중 외국자본 진입공시 자료가 입수가능한 표본을 추출하였다. 실증분석은 사건연구 방법을 이용했으며, 공시효과의 결정요인은 횡단면 회귀분석을 통해 검증하였다.
실증분석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외국인투자자가 중국상업은행의 지분을 인수했다는 뉴스는 주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는 주식시장 투자자들은 외국자본 진입이 중국상업은행의 가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평가함을 의미한다.
둘째, 외국자본 진입이 글로벌 금융위기 이전에 있었던 그룹과 이후에 발생한 그룹별로 공시효과가 다른지를 비교하였다. 분석 결과, 글로벌 금융위기 이전에 외국자본이 진입한 그룹에서는 유의한 양(+)의 누적평균 초과수익률이 발견되었지만,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에 외국자본이 진입한 표본에서는 유의한 결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는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전반적인 불확실성이 증가함에 따라, 외국자본 진입에 따른 중국상업은행의 성과개선에 대한 투자자의 기대가 낮아졌음을 시사한다.
마지막으로, 공시효과의 결정요인을 검증하기 위해 횡단면 분석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지분인수 대상인 중국상업은행에서 정부가 보유한 지분율이 낮을수록, 기존 외국인투자자가 해당 중국상업은행에 대해 보유하고 있는 지분율이 낮을수록, 지분인수 대상인 중국상업은행의 수익률이 높을수록, 외국자본의 중국상업은행 지분인수 공시는 주가에 보다 강한 정(+)의 영향을 미침을 확인하였다. 이는 주식시장의 투자자들은 정부지분이 높을수록 관료제 문화로 인해 외국자본 진입에 따른 긍정적 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우며, 이미 외국자본이 진입해 있는 은행의 경우에는 새로운 외국자본이 추가로 진입하더라도 그 효과가 크지 못하며, 수익성이 높은 은행일수록 외국자본 진입에 따른 긍정적 효과가 보다 잘 발휘될 것으로 기대함을 시사한다.
- Files in This Item
-
Go to Link
- Appears in
Collections - 경상대학 > 경영학부 > 1. Journal Articles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