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어젠다: 예술교육 발전목표>에 기초한 문화예술교육 지속발전지수(SAEI)의 개발과 정책적 함의Constructing Sustainable Development for Arts Education Index(SAEI): A Study based on the Seoul Agenda and its Policy Implications
- Other Titles
- Constructing Sustainable Development for Arts Education Index(SAEI): A Study based on the Seoul Agenda and its Policy Implications
- Authors
- 김인설; 서리나; 김미연; 신혜선
- Issue Date
- Aug-2020
- Publisher
- 한국문화교육학회
- Keywords
- 서울어젠다; 문화예술교육지속발전지수(SAEI); 문화예술교육; 예술교육정책; 정량지표; Seoul Agenda; Sustainable development for Arts Education Index (SAEI); culture & arts education; arts education policy; quantitative indicators
- Citation
- 문화예술교육연구, v.15, no.4, pp 1 - 25
- Pages
- 25
- Journal Title
- 문화예술교육연구
- Volume
- 15
- Number
- 4
- Start Page
- 1
- End Page
- 25
- URI
- https://scholarworks.sookmyung.ac.kr/handle/2020.sw.sookmyung/1313
- DOI
- 10.15815/kjcaes.2020.15.4.1
- ISSN
- 1975-6186
- Abstract
- ‘문화예술교육 지속발전지수(Sustainable Development for Arts Education Index, 이하 SAEI)’ 는 2010년 제2차 유네스코 세계문화예술교육대회에서 선포된 <서울어젠다: 예술교육 발전목표>를기반으로 국가별 문화예술교육의 실천과 성과에 대한 점검을 목적으로 개발되었다. SEAI는 국가통계를 기반으로 설계한 정량적 측정지표와 국가별 상황과 맥락을 반영하여 문화예술교육의 발전상황을 자체적으로 점검할 수 있는 정성지표(체크리스트)로 구성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서울어젠다 이행 성과를 정량적으로 파악하는 것에 목적을 두고, 로직모델과 국가통계를 젓심으로 개발된측정지표를 사용하여 ‘문화예술교육 지속발전지수(SAEI)'를 산출하고 그 결과에 대한 정책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SAEI는 개발된 지표체계와 로직모델을 기반으로, 라스파이레스의 산식(Laspeyres’ Formula)을 활용하여 연도별 최종값의 추이를 파악할 수 있도록 고안되었다. 각 해를 대표하는 SAEI의 최종값은 서울어젠다가 유네스코에 정식으로 채택된 2011년 이후 격년(2011 년, 2013년, 2015년, 2017년)으로 수집된 자료와 함께 2018년 자료를 추가하여 분석비교하였다. 연 구 결과, 지수를 통해 구현된 한국의 문화예술교육의 지속가능한 발전성은 최근 10년간 꾸준히 향상된 것으로 분석되었으나, SAEI를 구성하는 세 개의 핵심지수 젓 ‘질적 향상성’과 ‘사회문화적 가치확산성’은 문화예술교육의 ‘보편적 접근성’ 비해 월등히 낮아 이에 대한 정책개발과노력이 요구되는 것으로 드러났다.
- Files in This Item
-
Go to Link
- Appears in
Collections - ETC > 1. Journal Articles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