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술의 치유적 기능에 기반한 노인 미술교육 방안 연구A Study on the Method of Elderly Art Education based Healing Function of Art
- Other Titles
- A Study on the Method of Elderly Art Education based Healing Function of Art
- Authors
- 김향미
- Issue Date
- Dec-2010
- Publisher
- 한국조형교육학회
- Keywords
- elderly art education; life-long education; function of art; healing; 노인 미술교육; 평생교육; 미술의 기능; 치유; elderly art education; life-long education; function of art; healing
- Citation
- 조형교육, no.38, pp 81 - 94
- Pages
- 14
- Journal Title
- 조형교육
- Number
- 38
- Start Page
- 81
- End Page
- 94
- URI
- https://scholarworks.sookmyung.ac.kr/handle/2020.sw.sookmyung/13342
- ISSN
- 1225-4177
- Abstract
- 인간의 평균수명 연장은 노년기의 연장으로 이어지며 이 기간 동안 좀 더 질 높게 잘 살고자 하는 욕구가 증대되고 있다. 또한, 전반적인 교육수준의 향상은 노인들의 교육적 욕구에도 영향을 미치게 되어, 자신의 가능성을 인식하고 자아정체성을 확인하고자 하는 그들의 노력이 확대되고 있다. 더욱이, 급속한 경제성장과 정보통신기술의 발달 등 새로운 사회적 변화에 적극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지식과 기술에 대한 교육적 욕구가 증대되고 있다.
이상과 같은 변화 추세에 발맞추어 노인교육을 바람직한 방향으로 실현시키기 위해서는, 그들의 교육적 욕구를 기반으로 한 교육의 목적과 내용, 방법에 대한 깊이 있는 고찰이 필요하다.
평생교육적 관점에서 볼 때, 노년기는 신체적인 노화로 인한 여러 문제를 지니는 시기이기보다는, 무한한 가능성을 지닌 지속적인 발달의 과정 중에 있는 시기라고 보는 새로운 인식의 전환이 요구된다(송병순, 이영호, 2000: 233). 즉, 인생의 그 어떤 시기에서도 찾을 수 없는 풍부한 인생경험을 지닌 시기이며, 자신의 가치와 역할을 추구하고 외부 세계와 지속적인 관계를 유지하는 삶을 영위해야 하는 시기이다. 노인들의 자기 계발 욕구와 계속적인 발달 및 성장을 지원하기 위한 노인교육은 그들의 삶을 더욱 창조적, 긍정적으로 보낼 수 있도록 한다는 점에서, 적극 고려되어야 할 시대적 요청이라 할 수 있겠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미술의 치유적 기능에 착안하여 평생교육적 관점에서의 노인 미술교육의 의의와 필요성에 대해 고찰하고 그 방안을 구안하였다.
향후 노인 미술교육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미술의 기능에 대한 인식의 전환과 더불어 이와 관련된 다양한 이론적 연구와 노인들의 개인별 특성 및 미술적 성향에 따른 체계적이고도 구체적인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나아가 교육현장에서의 효율적인 적용과 실천의 노력들이 수반되어야 할 것이다.
노인 미술교육은 노인들로 하여금 늘 새로운 것들을 배우고 추구하며 이를 삶의 일부로서 영위하는 가운데 인생을 살아가는 즐거움을 느끼게 함으로써 보다 건강하고 활기찬 심신을 유지해 나갈 수 있도록 하는 데 더없는 촉매제가 될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 Files in This Item
-
Go to Link
- Appears in
Collections - 특수대학원 > 교육대학원 > 1. Journal Articles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