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아방가르드와 맑스주의 -소비에트 구성주의의 사례 연구-Marxism and Avant-Garde: The Case of Soviet Constructivism

Other Titles
Marxism and Avant-Garde: The Case of Soviet Constructivism
Authors
박영욱
Issue Date
Sep-2010
Publisher
한국철학사상연구회
Keywords
Constructivism; Constructivist Architecture; Avant-Garde; Modernism Art; Marxism; 구성주의; 아방가르드; 모더니즘 예술; 맑시즘
Citation
시대와 철학, v.21, no.3, pp 209 - 254
Pages
46
Journal Title
시대와 철학
Volume
21
Number
3
Start Page
209
End Page
254
URI
https://scholarworks.sookmyung.ac.kr/handle/2020.sw.sookmyung/13419
ISSN
1227-2809
Abstract
이 글은 20세기 초 아방가르드 예술을 사회주의의 원리로 구현하고자하였던 소비에트 구성주의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다시피 스스로 프롤레타리아트 당파성을 철저하게 고수하고 있다고 믿는 소비에트 구성주의자들은 20세기의 새로운 모더니즘 예술의 원리를 통하여 열등한 러시아 인민들을 계몽할 뿐만 아니라 그것을 사회적 원리로 구축하고자 하였다. 말하자면 당파성과 모더니즘 예술의 새로운 형식을 결합하고자 하였던 것이다. 소비에트 구성주의자들에게 모더니즘 예술은 기존의 전통적 예술 관행을 거부하고 새로운 과학적 세계관을 반영한다는 의미에서 새로운 소비에트사회를 위한 예술로 적극 수용되었다. 물론 이들은 가능한 모더니즘 예술의관념적 성격을 배제하고 객관적이고 과학적인 측면을 받아들여 그것을 사회적 변혁의 무기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이는 관념적 혹은 주관적 구성주의 대객관적 구성주의의 대립에서 분명하게 나타난다. 나아가 긴즈부르그를 중심으로 한 소비에트 구성주의 건축은 구성주의의원리를 주택이라는 실생활에 적용하고자 한 시도로 간주될 수 있다. 하지만 긴즈부르그의 구성주의 건축은 사실상 서구의 모더니즘 건축과 큰 차이를 나타내지 못하고 모더니즘 건축의 큰 테두리 안에 갇히고 만다. 이는 구성주의자들이 모더니즘의 형식을 사회주의적으로 수용하려 하였으나 모더니즘 일반이지닌 관념적이고도 엘리트주의적 특성을 벗어날 수 없었다는 것을 보여준다.
Files in This Item
Go to Link
Appears in
Collections
대학 > 기초교양대학 > 기초교양학부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Park, Young Wook photo

Park, Young Wook
순헌칼리지 (기초교양학부)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