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참고서라는 우상Chamgoseo, As an Idol

Other Titles
Chamgoseo, As an Idol
Authors
최시한
Issue Date
Nov-2009
Publisher
우리말교육현장학회
Keywords
참고서; 참고서 이데올로기; 교육 내용; 기능주의; Chamgoseo; chamgoseo ideology; contents of education; functionalism
Citation
우리말교육현장연구, v.3, no.2, pp.7 - 24
Journal Title
우리말교육현장연구
Volume
3
Number
2
Start Page
7
End Page
24
URI
https://scholarworks.sookmyung.ac.kr/handle/2020.sw.sookmyung/13648
ISSN
1976-3204
Abstract
한국의 초∙중등교육 논의에서 참고서는 본격적인 연구와 비판의 대상이 되지 않아왔다. 하지만 그에 대한 연구는 교육 제도나 대학입시 방법 같은 것보다 훨씬 중요하며, 먼저 이루어져야 한다. 지배적인 위치에 있는 게 사실이고, 무엇보다 교육 내용을 좌우하기 때문이다. 참고서가 단지 ‘참고하는 도서’에 머물지 않고 교육 전반을 지배하는 이데올로기의 상징이 되게 한 것은 한국사회의 천민자본주의, 기능주의적 교육관 등이다. 교육 담당자들 또한 그에 젖어서 점수 따기를 돕는 데 안주하였다. 한국 교육의 고질적인 병폐를 진단하고 개선하기 위해서는 ‘참고서 연구’ 혹은 ‘참고서라는 우상 타파 운동’이 필요하다. 이 글은 그것을 주장하면서. 그게 무엇을, 어떻게, 무슨 목적으로 하는 것인지에 대해 국어 교육 중심으로 논의하였다. 필자의 기본 생각은 ‘맹목적인 암기’의 행진을 멈추고 인간다운 삶을 위한 교육 쪽으로 방향을 틀기 위해서는 참고서 연구가 매우 효과적일 수 있으니, 참고서의 실체를 인정하고, 실제적인 연구를 하자는 것이다. 또 더 이상 사회 현실이나 교육 제도를 탓하지 말고 교육 내용부터 개선하자는 것이다.
Files in This Item
Go to Link
Appears in
Collections
문과대학 > 한국어문학부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