완전절제 유방암 생존여성의 신체변화스트레스와 심리사회적 적응: 자존감의 중재 및 매개효과Body Change Stress and Psycho-Social Adjustment of the Survivors of Post-Mastectomy Breast Cancer Patients: The Moderating & Mediating Effects of Self-Esteem
- Other Titles
- Body Change Stress and Psycho-Social Adjustment of the Survivors of Post-Mastectomy Breast Cancer Patients: The Moderating & Mediating Effects of Self-Esteem
- Authors
- 장경문
- Issue Date
- Jun-2009
- Publisher
- 대한스트레스학회
- Keywords
- 유방암; 완전절제술; 자존감; 신체변화스트레스; 심리-사회적 적응; 중재효과; 매개효과; Breast cancer patient; Mastectomy; Self-esteem; Body change stress; Psycho-social adjustment; Moderating effect; Mediating effect
- Citation
- 스트레스 硏究, v.17, no.2, pp.121 - 130
- Journal Title
- 스트레스 硏究
- Volume
- 17
- Number
- 2
- Start Page
- 121
- End Page
- 130
- URI
- https://scholarworks.sookmyung.ac.kr/handle/2020.sw.sookmyung/13972
- ISSN
- 1225-665X
- Abstract
- 이 연구에서는 완전절제술을 받은 유방암여성(총 95명)을 대상으로, 이들의 사회인구학적, 질병관련요인들 및 자존감이 신체변화스트레스 지각과 심리사회적 적응(우울, 사회기능/관계적응 및 성생활적응)과 어떤 관련이 있는지 알아보았다. 또한 자존감이 이들의 신체변화스트레스 지각과 심리사회적 적응 간에 유의한 중재 및 매개작용을 하는지도 알아보았다. 분석결과, 첫째, 사회인구학적 및 질병과련요인들보다 이들의 내적 요인인 자존감이 신체변화스트레스 지각과 심리사회적 적응과 더 높은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존감은 신체변화스트레스와 심리사회적 적응 간에 유의한 중재작용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자존감은 신체변화스트레스 지각과 우울 및 사회기능/관계적응 간에는 유의한 (부분)매개작용을 하지만, 신체변화스트레스와 성생활적응 간에는 유의한 매개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유방암 생존여성에 대한 이해와 효과적인 도움제공을 위해서는 다양한 개인 내적 요인들과 이들의 작용과정에 대한 탐색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 Files in This Item
-
Go to Link
- Appears in
Collections - 특수대학원 > 교육대학원 > 1. Journal Articles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