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특성복합체의 직업 선택과 교과 흥미에 대한 예측타당성Predictive Validity of Trait Complexes on Career Choice and Subject Interest

Other Titles
Predictive Validity of Trait Complexes on Career Choice and Subject Interest
Authors
하대현김소연
Issue Date
Dec-2008
Publisher
한국교육심리학회
Keywords
특성복합체; 직업 선택; 교과 흥미; trait complexes; career choice; subject interest
Citation
교육심리연구, v.22, no.4, pp 763 - 781
Pages
19
Journal Title
교육심리연구
Volume
22
Number
4
Start Page
763
End Page
781
URI
https://scholarworks.sookmyung.ac.kr/handle/2020.sw.sookmyung/14393
ISSN
1225-4290
Abstract
이 연구는 고등학생들의 직업 선택과 교과 흥미를 예측하는데 인간의 지(知), 정(情), 의(意)의 3가지 심리적 차원을 따로따로 분리해 예측하는 것보다는 통합해 예측하는 것이 보다 타당하고 유용한 시도라고 간주하고, 지정의의 세 차원을 통합한 Ackerman의 특성복합체의 예측 타당성을 경험적으로 밝히고자 한 것이다. 그리하여 서울 지역 429명의 고등학생에게 지능, 성격, 흥미검사를 실시하고, Ackerman이 제안한 모형에 근거해 과학/수학, 이지/교양, 사회적, 사무/관습의 4가지 특성복합체를 구해 직업 선택과 교과 흥미와의 관련성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첫째 진로자아효능감에 대한 세 차원의 요인들의 설명력을 살펴보기 위해 회귀분석을 실시했을 때 8개 진로 분야 중 6개 분야에서 두번째 차원의 추가 설명량이 유의했다. 이것은 진로자아효능감을 예측할 때 각기 다른 차원을 동시에 고려해야 할 필요성을 의미하는 것이다. 둘째, 특성복합체와 학생과 학부모의 희망직업과의 관련성을 살펴보았을 때 두 경우 모두 사무/관습 특성복합체에 해당되는 희망 직업군을 제외한 다른 나머지 세 특성복합체에 해당되는 희망 직업군에서 사람들이 가장 높을 것으로 예측되는 특성복합체에 가장 높은 점수를 나타냈다. 즉 언어, 예술 계통의 직업을 희망한 사람들은 4가지 특성복합체 중 이지/교양 특성복합체 점수가 가장 높았고, 과학, 의학, 컴퓨터 계열 등의 직업을 희망한 사람들은 과학/수학 특성복합체 점수가 가장 높았으며, 교사, 사회복지사, 경영 계열 등의 직업을 희망한 사람들은 사회적 복합체 점수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셋째, 특성복합체와 교과 흥미와의 관련성을 살펴보았을 때, 인문사회/예술 교과에 흥미를 나타낸 학생들은 이지/교양 특성복합체 점수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자연과학 교과에 흥미를 나타낸 학생들은 과학/수학 특성복합체 점수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들은 특성복합체가 직업 선택과 교과 흥미를 어느 정도로 잘 예측할 수 있음을 보여주는 증거로 해석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predictive validity of trait complexes suggested by Ackerman on career choice and subject interest. Ackerman proposed 4 types of trait complexes(science-mathematics, intellectual-cultural, social, clerical-conventional), each of which was represented by commonalities among ability(intelligence), personality, and interest traits. To compute individual trait complexes scores, ability tests which consisted of Gf and Gc factors, Big 5 personality inventory, and Holland vocational interest scale were administered to 429 second-grade high school students. Three important findings were obtained. First, regression analysis showed significant increments in the proportion of variance of career self-efficacy scores mainly because of ability and personality traits after the vocational interest traits had already been taken into account, indicating the usefulness of traits complexes. Second, three types of trait complexes tended to predict career choice of both students and their parents well: That is, those who reported occupations of language and art domains as their best-wish occupation showed highest scores on intellectual-cultural trait complex. Those who reported occupations of science, medicine, and computer domains as their best-wish occupation showed highest scores on science-mathematics trait complex. Those who reported occupations of education, social welfare, and business domains as their best-wish occupation showed highest scores on social trait complex. Third, two types of trait complexes tended to predict subject interest well: Those who reported Humanities/Social science subjects relevant to their first rated subject interest showed highest scores on intellectual-cultural trait complex whereas those who reported Natural science subjects showed highest scores on science-mathematics trait complex. These results were interpreted as indicating predictive validity of the trait complexes.
Files in This Item
Go to Link
Appears in
Collections
문과대학 > 교육학부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