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정체성의 섬뜩한 계곡과 혐오의 전유법 :무라타 사야카(村田沙耶香) 편의점 인간(コンビニ人間) 의 윤리The uncanny valley of identity and the appropriationof disgust :Ethics of Sayaka Murata’s Convenience Store Human

Other Titles
The uncanny valley of identity and the appropriationof disgust :Ethics of Sayaka Murata’s Convenience Store Human
Authors
이지형
Issue Date
Feb-2022
Publisher
고려대학교 글로벌일본연구원
Keywords
무라타 사야카; 혐오; 차이; 정체성; 섬뜩한 계곡; 신유물론; 캐런 버라드; 로봇-인간; Sayaka Murata; disgust; difference; identity; uncanny valley; New Materialism; Karen Barad; Robot-Human
Citation
일본연구, no.37, pp 199 - 235
Pages
37
Journal Title
일본연구
Number
37
Start Page
199
End Page
235
URI
https://scholarworks.sookmyung.ac.kr/handle/2020.sw.sookmyung/145915
ISSN
1598-4990
Abstract
편의점 인간 은 현대 사회의 시그니처 공간 편의점과 분리 불가능한 존재, ‘편의점-인간’의 실체를 탐구하는 소설이다. 타인과의 공감, 소통이 불가능해 공동체로부터 소외, 혐오된 후루쿠라 게이코의 이야기이다. 소설은 한 남성의 개입 이후 요동치는 그녀의 삶이 어렵사리 성취한 새로운 정체성을 놀라운 방식으로 재현한다. 편의점과 후루쿠라의 신체적, 물질적, 존재론적 얽힘을 통해 재현되는 새로운 정체성은 근미래의 탈인간적 정체성을 선취하는 것으로도 읽힌다. 그래서 편의점 인간 은 후루쿠라가 편의점-인간의 정체성을 구성해 가는 자기 승인의 서사이자 인정 투쟁의 서사이기도 하다. 본 논문은 후루쿠라가 직면한 혐오 양상을 계급/젠더와 공감 불가능성의 두 가지 측면에서 우선 분석하였다. 이어 혐오 정동 및 새로운 정체성과 긴밀히 관련된 ‘섬뜩함’의 문제를 로봇 공학자 모리 마사히로의 ‘섬뜩한 계곡’ 이론을 원용해 살폈다. 끝으로 ‘로봇-인간’이라는 새로운 정체성을 통한 마이너리티 혐오 문제 사유 가능성을 캐런 버라드의 신유물론 주장에 토대해 모색하였다. 소설을 둘러싼 혐오 양상은 단선적이지 않다. 후루쿠라에겐 정체성의 근간인 편의점 노동이 비정규직에 대한 차별적 통념과 자기혐오의 대상이 된다는 역설은 혐오의 자기장이 매우 중층적으로 구성돼 있음을 드러낸다. 마냥 차이나는 것보다는 같은 듯 다른 미세한 차이, 즉 모호한 동질성이 더 섬뜩함을 불러일으켜 혐오 정동으로 작동할 수 있다는 ‘섬뜩한 계곡’ 이론도 후루쿠라에 대한 혐오를 사유하는 데 매우 시사적이다. 양자 역학 실험 속 인간관찰자의 뜻밖의 영향력의 의미를 반추함으로써, 인간과 사물을 포함한 모든 존재들은 독립적으로 존재하지 않으며 대상과 주체가 복잡하게 얽혀 있음을 주장한 캐런 버라드의 주장은 ‘편의점-인간’이라는 새로운 정체성을 파악하는 데 영감을 준다. 이처럼 탈인간중심주의를 지향하더라도 ‘인간’이라는 존재 조건에서 완전히 자유로울 수는 없다는 버라드의 입장은 인간 주체의 존재론적 한계를 인정한다는 점에서 윤리적이다. 태생적 공감 불가능성으로 인해 부단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사회 규범 및 상식에 동일화할 수 없는 후루쿠라에게 편의점은 분리될 수 없는 존재이지만, 이 또한 자명하거나 영원하지 않음을 그는 안다. 이것이야말로 존재와 앎, 윤리와 앎이 하나 되는 새로운 정체성 ‘편의점-인간’의 윤리-존재-인식론일 것이다. 편의점과 연결될 때 비로소 의미를 발견할 수 있는 후루쿠라의 윤리는 인간과 비인간 존재를 분절하는 동시에 관통하는 윤리이다.
Convenience Store Human is a novel that explores the reality of ‘convenience store-human’, an inseparable existence from convenience stores, the signature space of modern society. It is the story of Keiko Furukura, who was alienated and disgusted from the community because it was impossible to empathize and communicate with others. The novel represents in a surprising way the new identity that her life, which fluctuates after a man’s intervention, has struggled to achieve. The new identity reproduced through the physical, material, and ontological entanglement of convenience stores and Furukura is also read as preempting a post-human identity in the near future. Therefore, Convenience Store Human is also a narrative of self-approval and struggle for recognition that Furukura constructs a convenience store-human identity. This paper first analyzed the disgust patterns that Furukura faced in two aspects: class/gender and inability to empathize. Next, the problem of ‘uncanny feeling’ closely related to disgust affect and new identity was investigated using the theory of ‘uncanny valley’ of robotics engineer Masahiro Mori. Finally, the possibility of thinking about the problem of minority disgust through the new identity of ‘robot-human’ was sought based on Karen Barad’s argument for new materialism. The disgust pattern surrounding the novel is not unilinear. For Furukura, the paradox that convenience store labor, which is the basis of identity, is a subject of discriminatory myths and self-disgust against non-regular workers reveals that the magnetic field of disgust is very layered. The ‘uncanny valley’ theory, which states that subtle differences that are similar to each other rather than just differences, that is, an ambiguous identity, can cause more uncanny feeling and act as a disgusting affect, is also very suggestive for thinking about disgust for Furukura. By reflecting on the meaning of the unexpected influence of the human observer in the quantum mechanics experiment, Karen Barad argued that all beings, including humans and objects, do not exist independently and that objects and subjects are intricately intertwined. It inspires us to identify new identities, ‘convenience store-human’. Barad’s position that even if she aims for post-anthropocentrism, she cannot be completely free from the existence condition of “human” is ethical in that she acknowledges the ontological limitations of human subjects. For Furukura, who cannot be identified with social norms and common sense due to his inability to empathize by birth, convenience stores are inseparable, but she knows that this is not self-evident or eternal. This would be the ethics-existence-epistemology of the new identity ‘convenience store-human’, in which existence and knowledge, ethics and knowledge become one. Furukura’s ethics, which can only find meaning when connected to a convenience store, are those that divide and penetrate human and non-human existence.
Files in This Item
Go to Link
Appears in
Collections
문과대학 > 일본학과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Lee, Jee Hyung photo

Lee, Jee Hyung
문과대학 (일본학과)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