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근대 역사극 공연 이력 연구A Study on the Performance History of Modern Historical Dramas in Korea
- Other Titles
- A Study on the Performance History of Modern Historical Dramas in Korea
- Authors
- 김병길
- Issue Date
- Dec-2021
- Publisher
- 한국 리터러시 학회
- Keywords
- period drama; historical drama; national drama; melodrama; popular drama; 시대극; 역사극; 국민연극; 통속극; 대중극
- Citation
- 리터러시 연구, v.12, no.6, pp.507 - 536
- Journal Title
- 리터러시 연구
- Volume
- 12
- Number
- 6
- Start Page
- 507
- End Page
- 536
- URI
- https://scholarworks.sookmyung.ac.kr/handle/2020.sw.sookmyung/146061
- DOI
- 10.37736/KJLR.2021.12.12.6.17
- ISSN
- 2586-7229
- Abstract
- 본고는 ‘한국 근대 역사극 공연사’ 기술을 위한 예비 작업에 해당한다. 정확한 공연관련 정보를 정리 및 재구에 연구의 일차적인 목적이 있다.
식민시기 역사극 공연은 사극, 시대극, 역사극 등의 타이틀로 광고됐다. 대개는 일반적인 극 형식이었으나, 창극이나 가극과 같은 악극 형식의 공연 역시 적지 않았다.
특히 신문에 연재 중이거나 연재되었던 원작소설의 대중적 인기에 편승한 각색 공연이 잦았다. 잡지를 통해 발표된 희곡 작품을 공연하거나 공연이 무산되어 지면을 통해 발표된 역사극 텍스트도 있다.
1940년을 분기점으로 역사극 공연의 성격은 차이를 보인다. 1931년 그 시발에서부터 1939년까지 전반기 역사극 공연은 통속성이 점차 강화되는 양상으로 전개되었다. 신파성 강한 대중극으로서 최루성 연극이 주를 이룬 것이다. 후반기에 접어들어서는 일제의 암묵적인 후원과 지지에 힘입어 흥행 면에서 전성기를 구가한다. 조선의과거를 제국의 시선에서 전유한 역사극 공연이 대동아 담론의 전파 도구로 주목받은결과였다.
- Files in This Item
-
Go to Link
- Appears in
Collections - 대학 > 기초교양대학 > 기초교양학부 > 1. Journal Articles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