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저소득층 구직촉진수당의 고용효과 분석An Analysis of Employment Effects of Job Promotion Allowance for Low-income households

Other Titles
An Analysis of Employment Effects of Job Promotion Allowance for Low-income households
Authors
조성은이영민
Issue Date
Aug-2021
Publisher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Keywords
취업성공패키지; 구직활동수당; 고용서비스; 구직지원; 취업지원수당; Job Success Package; Job Promotion Allowance; Empolyment Serviece; Job Search Support; Job Support Allowance
Citation
인문사회과학연구, v.22, no.3, pp 213 - 234
Pages
22
Journal Title
인문사회과학연구
Volume
22
Number
3
Start Page
213
End Page
234
URI
https://scholarworks.sookmyung.ac.kr/handle/2020.sw.sookmyung/146474
DOI
10.15818/ihss.2021.22.3.213
ISSN
2093-8780
Abstract
저소득층은 경제상황 악화 시 일자리감소의 타격을 가장 절실히 체감하는 계층이다. 정부는 저소득층의 구직활동과 취업을 지원하기 위해 종합 고용서비스인 취업성공패키지를 운영하고 있다. 취업성공패키지에 참여한 저소득층은 구직활동 단계에서 적극적인 구직활동을 전제로 일정 기간 구직촉진수당을 수령한다. 취업성공패키지와 저소득층 구직촉진수당에는 매년 막대한 예산이 투입되는 만큼, 정책의 의도대로 효과가 나타나는지를 확인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2020년 취업성공패키지에 참여한 저소득층을 대상으로 구직촉진수당의 효과를 파악하고 저소득층 대상 취업지원정책의 발전방향을 제안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2020년 취업성공패키지에 참여자 데이터를 활용하였으며, 대상을 수당 수급여부에 따라 나누어 고용효과를 파악코자 하였다. 분석에는 저소득층 구직촉진수당의 고용효과 확인을 위해 로지스틱 회귀분석, 임금효과 분석을 위해 다중회귀분석, 취업소요기간 분석을 위해 생존분석을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저소득층 대상 구직촉진수당은 취업성과 중 수혜자들의 취업 여부에 효과가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수당이 대상자에게 무조건적으로 주어지는 것이 아닌 매월 2회 이상 적극적 구직활동을 전제하는 구직활동 이행협약을 체결하기 때문으로 볼 수 있다. 구직활동 이행협약은 참여자의 취업의지를 강화하고 적극적 구직활동으로 이어져, 취업성과를 나타내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여진다. 둘째, 저소득층 대상 구직촉진수당 취업성과중 임금 및 취업소요기간 단축에는 긍정적 효과를 발견하지 못하였다. 이는 수급기간의 연장이라는 부작용으로 볼 수도 있으나, 일자리의 질을 높이기 위한 탐색기간의 연장으로도 볼 수 있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저소득층 대상 노동시장 참여 지원을 위한 취업지원정책 방향을 제언하였다.
The low-income class is the class who most desperately feels the blow of job loss when the economic situation worsens. The government operates a 'Job Success Package', a comprehensive employment service, to support low-income job search and employment. Low-income people who participated in the Job Success Package will receive a job promotion allowance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on the premise of active job search during the job search pha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effectiveness of the job promotion allowance for low-income people who participated in the Job Success Package in 2020 and to propose a direction for the development of the job support policy for low-income people. We analyzed the data of low-income people who participated in the 2020 Job Success Package. We analyzed employment status, wages, and duration of employment by dividing the analysis targets according to the allowance status.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job promotion allowance for low-income households was found to be effective in whether the beneficiaries were employed or not among their employment performance. This can be attributed to strengthening participants' will and linking them to actual job search activities on the premise that allowances are not unconditionally given, but that they are actively seeking jobs at least twice a month. Second, the employment promotion allowance for low-income households was not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wages and shorter period of employment. Based on these analysis results, we proposed a direction for employment support policies of the government to support low-income families to participate in the labor market.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사회과학대학 > 행정학과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Lee, Young Min photo

Lee, Young Min
사회과학대학 (행정학과)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