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대학 이전 교육과의 연계성을 고려한 대학 토론교육 개선 방향 연구Study on the Improvement of Debate Education in University Considering Prior Experience Before College

Other Titles
Study on the Improvement of Debate Education in University Considering Prior Experience Before College
Authors
김지윤신희선서정혁황영미
Issue Date
Jun-2021
Publisher
한국교양교육학회
Keywords
비판적 사고; 토론교육; 학습자중심; 역량기반교육; 설문조사; 대학 이전 교육
Citation
교양교육연구, v.15, no.3, pp 97 - 116
Pages
20
Journal Title
교양교육연구
Volume
15
Number
3
Start Page
97
End Page
116
URI
https://scholarworks.sookmyung.ac.kr/handle/2020.sw.sookmyung/146584
DOI
10.46392/kjge.2021.15.3.97
ISSN
1976-3212
2714-1101
Abstract
이 연구는 대학 내부적, 외부적 변화에 따라 교양필수 토론 교과의 운영에 새로운 방향이 필요하다는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다. 2000년대 이후 한국 대학에 토론 수업이 도입되었고, 20년이 경과된 지금, 중간 점검과 개선이 필요한 시기에 도달했다. 이에 교육 목표가 여전히 유효하고 교육 내용이 적합한지수강생의 입장에서 살펴보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의사소통 교육을 실시하는 교과가 처음 도입되었던 초창기에 진입해 토론 특화 교육 경험이 적층되어있는 숙명여대의 사례는 다른 대학의 참조점이 될 수 있을 것이다. 기존 누적된 <비판적 사고와 토론> 교과를 이수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2021년 1~2월 사이에 진행된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해 전체 응답자220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학습자 중심 교육을 위해서는 수업 현장에서의 교육성과를 학생들의 관점에서 살펴보기 위해 실제 학생들의 의견을 수렴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 연구의 설문조사는 대학 이전토론교육을 연계해 살펴볼 수 있는 내용으로 문항을 구성하였고, 이를 통해 학생들의 대학 이전 토론경험과 대학의 토론 교육을 비교함으로써 토론 교과와 교재의 개선점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설문 결과대학 이전 교육이 대학 토론 수업에 영향을 주고 있다고 나타났고, 대학 이전 교육과의 연계성을 중심으로대학 토론 교육의 방향을 설정할 필요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대학 이전 토론수업이 지식 위주로 구성되어 있고, 성취도 제한적이었기 때문에 학생들은 <비판적사고와 토론>수업이 소기의 교육적 효과를 거두고 있다고 평가하면서도, 대학 토론 수업을 통해 지식보다는 비판적 사고력, 문제해결력, 실제 활용 능력과 같은 역량을 개발하기를 더욱 바라고 있었다. 교재개편 방향도 실습 비중을 높이고 학생들이 실제 활용 가능한 방향으로 보완될 필요가 있음을 확인할수 있었다. 이 연구는 대학 이전 수업과의 연계성을 고려하여 대학 토론 수업이 본연의 목적을 살리고 교육효과를끌어올리기 위해 필요한 것은 무엇인지 방안을 모색하려고 했다. 연구 결과는 전체적인 대학토론교육에시사점을 줄 수 있을 것이다.
This research starts from recognizing the fact that a new direction is necessary in order to operate the basic liberal arts debate curriculum. The data has been empirically analyzed through online surveys - from January to February, 2021. 220 students used critical thinking skills in a debate class.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research paper tries to discover areas for improvement when it comes to critical thinking in debate class. It does so by comparing the debate experiences of the students before and after they have engaged in debate education at university. The research shows that students thought that current critical thinking and debate class had educational effects to some degree, regardless of whether or not they had good or bad experiences with debating before entering university. Rather than merely acquiring knowledge, students wanted to develop capabilities like critical thinking, problem solving, and practical utilization through the debate class activities. Furthermore, we learned that the teaching materials need to be supplemented with practically available theory when teaching students real debate techniques. Thus, this research emphasized the fact that debate education should be connected with the education undertaken by the students before they entered university. Also, learner-centered competency training should be done in the classroom in order to move forward to practical education, which can be applicable to real life.
Files in This Item
Go to Link
Appears in
Collections
대학 > 기초교양대학 > 기초교양학부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Shin, Hee Sun photo

Shin, Hee Sun
기초교양대학 (기초교양학부)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