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 옥균 서사’의 극화 계보The Dramatic Genealogy of “Narrative of Kim Ok-kyun”
- Other Titles
- The Dramatic Genealogy of “Narrative of Kim Ok-kyun”
- Authors
- 김병길
- Issue Date
- May-2021
- Publisher
- 한국사회이론학회
- Keywords
- 김 옥균 서사; 역사극; 멜로드라마; 국민연극; narrative of Kim Ok-kyun; historical drama; melodrama; national drama
- Citation
- 사회이론, no.59, pp.161 - 190
- Journal Title
- 사회이론
- Number
- 59
- Start Page
- 161
- End Page
- 190
- URI
- https://scholarworks.sookmyung.ac.kr/handle/2020.sw.sookmyung/146650
- DOI
- 10.37245/kjst.2021.05.59.161
- ISSN
- 1598-2300
- Abstract
- 본 연구는 식민 시기 일련의 ‘김 옥균 서사’ 극화의 단속적 흐름, 곧 연속성과 단절적 국면을 조망하는 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김 옥균 서사’ 극 텍스트에 관한 선행 연구성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세부 논점을 상정했다.
첫째, ‘김 옥균 서사’ 극화의 시발점에 대한 재고둘째, 김 진구 작 <대무대의 붕괴(大舞臺의 崩壞)> 공연 성사 여부셋째, 식민 시기 ‘김 옥균 서사’ 모티프 역사극 공연사넷째, 박 영호 작 <김옥균의 사(金玉均의 死)>를 둘러싼 상반된 평가위와 같은 논점을 중심으로 식민 시기 ‘김 옥균 서사’의 극화 계보를 추적한 본 연구는 다음의 몇 가지 사실 확인 및 결론에 이르렀다.
첫째, 1920년대 지면 희곡으로 발아된 ‘김 옥균 서사’의 극화는 1940년대 들어서면서 연극 공연으로 그 무대가 옮겨졌다.
둘째, 1920년대 텍스트가 김 옥균의 죽음에 극의 초점을 맞춘 것과 달리 1940년대 텍스트는 갑신정변과 김 옥균의 일본 망명 시절을 중점적으로 사건화했다.
셋째, 1920년대 텍스트에 나타나는 김 옥균의 ‘삼화(三和) 사상’은 1940년대 텍스트에서 대아시아주의, 곧 제국담론으로 전변된다.
넷째, 1940년대 동양극장의 <김옥균전(金玉均傳)>과 극단 아랑의 <김옥균(金玉均)> 공연을 분기로 ‘김 옥균 서사’의 극화는 멜로드라마적인 통속극으로 그 성격이 점차 변모한다.
다섯째, ‘김 옥균 서사’ 극화를 통한 동양극장과 극단 아랑의 경연은 1940년대 역사극 열풍을 이끈 주요한 계기였다.
‘김 옥균 서사’의 극화에 개입된 당대 담론 및 역사적 상황에 주목한 위와 같은 결론은 향후 극 장르를 포함한 문학 연구, 김 옥균 관련 인접 학문 분야 연구에도 유용한 참조점이 될 것이다.
- Files in This Item
-
Go to Link
- Appears in
Collections - 대학 > 기초교양대학 > 기초교양학부 > 1. Journal Articles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