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동학의 정체성 형성과정에 미친 서학의 영향:동학의 성장과 몰락The Influence of Seohak on Donghak's Identity Formation Process: the Growth and Fall of Donghak

Other Titles
The Influence of Seohak on Donghak's Identity Formation Process: the Growth and Fall of Donghak
Authors
임상욱
Issue Date
Mar-2021
Publisher
동학학회
Keywords
동학의 정체성; 서학의 영향; 보국안민; 삶의 방식; 신비체험; 평등; 지기일원론; Identity of Donghak; influence of Seohak; Boguk-an-min; way of life; mystical experience; equality; Jigi-monism
Citation
동학학보, no.58, pp.193 - 228
Journal Title
동학학보
Number
58
Start Page
193
End Page
228
URI
https://scholarworks.sookmyung.ac.kr/handle/2020.sw.sookmyung/146743
DOI
10.46639/kjds.2021.58.6
ISSN
1598-7566
Abstract
이 연구의 목적은 동학사상을 이루는 개념들 중 다분히 서학의 자산으로 간주할 수 있는 핵심 요소는 무엇일 수 있는지를 살피려는 데에 있다. 최제우 는 동학의 창시자였음에도 당시 조선 왕조는 그를 서학도로 몰아 사형에 처했 다. 이에 동학이 수용한 서학적 요소는 초기 동학의 정체성 형성과, 최제우 사 후 동학의 정체성 변화에 과연 어떤 영향을 주었는지에 대한 논의가 필요해 보인다. 이를 위한 연구 방법으로는 문헌 연구와 종교별 인구 통계를 활용하 였다. 이 연구의 내용은, 첫째, 동학의 독자적 정체성을 둘러싼 논란에 대해서이 다. 여기엔 동학의 종교 정체성에 관련한 이슈와, 실천적 삶의 방식에 주안점 을 둔 동양적 시각이 서로 맞물려 있다. 둘째, 최제우의 동학이 추구했던 핵심 가치는 바로 나라를 바로 돕고 인민을 편안하게 만드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 무엇인지에 대한 것이었다. 그 방법이 종교적인지, 그렇지 않은지의 여부는 최제우에게 부차적인 문제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첫째, 최제우의 동학은 서양의 종교적 특성과 동양적 삶 의 방식이 불분명하게 서로 혼합된 형태로 자리 잡았다. 전자가 요구하는 신 비적 체험은 후자에 자연스러운 삶의 방식과 필연적으로 충돌하게 되었다. 둘째, 최시형의 동학은 일상에서 신비로운 색채를 모두 걷어내고, 지기일원론 에 가장 충실한 정체성을 보였다. 역설적이지만, 최제우 동학에 내재 된 모순 덕분에, 이제 모든 만물은 천주처럼 대접받아야 할 존귀한 존재가 되었다.
Files in This Item
Go to Link
Appears in
Collections
대학 > 기초교양대학 > 기초교양학부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Yim, Sang Wook photo

Yim, Sang Wook
기초교양대학 (기초교양학부)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