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비유아교사의 인공지능과 인공지능 교수에 대한 인식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Recognition of Artificial Intelligence and Artificial Intelligence Teachers
- Other Titles
-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Recognition of Artificial Intelligence and Artificial Intelligence Teachers
- Authors
- 권숙진; 권선아
- Issue Date
- Dec-2018
- Publisher
- 영재교육연구소
- Citation
- Global Creative Leader: Education & Learning, v.8, no.4, pp 87 - 102
- Pages
- 16
- Journal Title
- Global Creative Leader: Education & Learning
- Volume
- 8
- Number
- 4
- Start Page
- 87
- End Page
- 102
- URI
- https://scholarworks.sookmyung.ac.kr/handle/2020.sw.sookmyung/146902
- DOI
- 10.34226/gcl.2018.8.4.87
- ISSN
- 22347534
- Abstract
- 본 연구는 인공지능 기술의 교육 적용과 관련된 가능성을 탐색하기 위해 교육 분야에서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 in education, AIED) 연구 관점을 취하여 예비유아교사의 인공지능과 인공지능 교수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였다. 첫 번째 연구문제로 설정된 예비교사의 인공지능에 대한 지식 수준과 느낌을 확인한 결과 학년별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저학년에 비해 고학년의 인식 수준이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첫째, 인공지능 기술에 대한 지식 정도는 예비유아교사들은 ‘들어본 적은 있으나 자세한 내용은 모른다’가 가장 많았고, ‘설명할 수 있는 수준은 아니지만 어느 정도 이해하고 있다’가 그 다음으로 많이 나타났다. 둘째, 인공지능에 대한 느낌 정도는 ‘사용하기에 따라 다른 기술’로 인식하는 경우가 가장 많았고, ‘편리한 기술’, ‘인간과 공존할 수 있는 기술’ 순으로 나타났다. 두 번째 연구문제로 설정된 예비유아교사의 인공지능 교수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기 위해 인공지능 교수 도입에 대한 의견과 이미지, 인공지능 교수가 도움을 줄 수 있는 학습 단계, 인공지능 교수의 장·단점에 대해 알아보았다. 첫째, 인공지능 교수 도입과 관련하여 인간 교수의 대체가능성에 대해서는 중립적이거나 부정적인 응답을 하였다. 둘째, 인공지능 교수의 이미지에 대한 의견은 아바타와 휴머로이드 로봇 등 어떤 특정한 형태를 가지고 있는 이미지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인공지능 교수의 도움을 받을 수 있는 학습단계는 Bloom의 ‘분석’ 단계로 나타났다. 넷째, 인공지능 교수의 장·단점에 대해서는 예비유아교사들은 인공지능 교수가 가진 전문가 수준의 지식과 정보가 전달되는 점을 부각하여 인식하고 있었으며, 인간 교수가 가진 사회정서적인 특징을 단점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한 교수학습환경 변화에 대비하여 미래사회에서 요구되는 유아교사의 핵심역량에 따라 향후 교원양성과정에 필요한 교육내용과 방법론적 접근을 탐색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Files in This Item
-
Go to Link
- Appears in
Collections - 대학 > 기초교양대학 > 기초교양학부 > 1. Journal Articles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