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정환경자극이 학교준비도에 미치는 종단적 영향: 유아의 인지 및 언어발달, 또래상호작용의 매개효과Longitudinal effects of home environment on school readiness: Mediating effect of children's cognitive and language development, and peer interaction
- Other Titles
- Longitudinal effects of home environment on school readiness: Mediating effect of children's cognitive and language development, and peer interaction
- Authors
- 임선아; 심숙영
- Issue Date
- Sep-2022
- Publisher
- 한국유아교육학회
- Keywords
- 가정환경자극; 유아 인지 및 언어발달; 유아 또래상호작용; 학교준비도; home-environment; cognitive development and language development; peer interaction; school readiness
- Citation
- 유아교육연구, v.42, no.5, pp 75 - 98
- Pages
- 24
- Journal Title
- 유아교육연구
- Volume
- 42
- Number
- 5
- Start Page
- 75
- End Page
- 98
- URI
- https://scholarworks.sookmyung.ac.kr/handle/2020.sw.sookmyung/151417
- DOI
- 10.18023/kjece.2022.42.5.004
- ISSN
- 1226-9565
2733-9637
- Abstract
- 본 연구는 5세 때 가정환경자극, 6세 때 인지 및 언어발달, 또래상호작용과 7세 때 학교준비도간의 시간적 인과관계를 규명하고, 가정환경자극이 인지 및 언어발달, 또래상호작용을 통해 학교준비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들 변수들 간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본 연구는한국아동패널의 5차년도(2012), 6차년도(2013), 7차년도(2014) 데이터 중, 1,671명 유아의 어머니와 담임교사가 답한 자료를 사용하였다. 분석자료에서, 5세 때 가정환경자극에서는 부모의 교육수준과 소득수준을 통제하였고, 7세 때 학교준비도에서는 유아의 성별과 월령을 통제한 후 주요 변인 간의 관계를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을 통해 검증하였다. 그 결과, 첫째, 5세 때 가정환경자극의수용성은 6세 때 또래상호작용, 5세 때 가정환경자극의 학습자료는 6세 때 언어발달, 5세 때 가정환경자극의 언어자극은 6세 때 인지 및 언어발달 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5세 때 가정환경자극의 다양성은 7세 때의 학교준비도에 직접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5세 때 가정환경자극의 수용성은 6세 때 또래상호작용을 통해, 5세 때가정환경자극의 학습자료는 6세 때의 언어발달을 통해, 5세 때 가정환경자극의 언어자극은 6세때 인지 및 언어발달을 통해 7세 때 학교준비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Files in This Item
-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 Appears in
Collections - ETC > 1. Journal Articles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