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사-유아 상호작용 유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잠재프로파일분석을 중심으로Classification of Latent classes on Teacher-Child Interactions in Preschool and Exploration of Affecting Factors to Classified Latent Classes
- Other Titles
- Classification of Latent classes on Teacher-Child Interactions in Preschool and Exploration of Affecting Factors to Classified Latent Classes
- Authors
- 김수정; 정연아
- Issue Date
- Dec-2022
- Publisher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Keywords
-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 teacher-child interactions; factors related to teacher-child interaction in preschool; latent class analysis; 한국아동패널; 교사-유아 상호작용; 상호작용에 영향 미치는 요인; 잠재계층분석
- Citation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22, no.24, pp.801 - 817
- Journal Title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 Volume
- 22
- Number
- 24
- Start Page
- 801
- End Page
- 817
- URI
- https://scholarworks.sookmyung.ac.kr/handle/2020.sw.sookmyung/151432
- DOI
- 10.22251/jlcci.2022.22.24.801
- ISSN
- 1598-2106
- Abstract
- 목적 본 연구는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잠재계층을 구분하고, 기관, 교사, 유아 요인을 투입한 후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이를 위해 한국 아동 패널의 4차년도 자료를 사용하였으며, 761명의 교사와 유아를 대상으로 하였다. 잠재계층분석을 통해교사-유아 상호작용 유형을 나누었고, 다변량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해 교사-유아 상호작용 유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보았다.
결과 첫째, 교사-유아 상호작용은 4개의 유형으로 구분되었으며, 교사-유아 상호작용 수준이 상대적으로 “낮은 수준 집단(4.2%)”, “중하 수준 집단(46.7%)”, “중상 수준 집단(28.0%)”, “높은 수준 집단(21.1%)으로 명명하였다. 둘째, 교사-유아 상호작용 유형에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공통으로 교실 환경, 부모와의 의사소통, 교수 효능감으로 나타났다.
결론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교사-유아의 질 높은 상호작용을 위한 긍정적인 교실 환경을 조성하고, 부모와의 의사소통, 그리고교사의 교수 효능감을 증진할 수 있는 방안 마련이 필요하다.
- Files in This Item
-
Go to Link
- Appears in
Collections - 특수대학원 > 교육대학원 > 유아교육전공 > 1. Journal Articles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