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 숙달도 평가 동영상 강의 콘텐츠 개발 연구 - 한국어능력시험(TOPIK) Ⅱ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Korean Proficiency Evaluation Video Lecture contents - Focusing on Test of Proficiency in Korean(TOPIK) II -
- Other Titles
-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Korean Proficiency Evaluation Video Lecture contents - Focusing on Test of Proficiency in Korean(TOPIK) II -
- Authors
- 박수연; 이은경; 윤경원; 권제은; 지현진
- Issue Date
- Feb-2023
- Publisher
- 연세대학교 언어정보연구원
- Keywords
- 한국어능력시험(TOPIK); 동영상 강의 콘텐츠; 학습자 중심; 요구분석; 교수요목 설계; Test of Proficiency in Korean(TOPIK); video content; Learner-centered; needs analysis; syllabus design
- Citation
- 언어사실과 관점, v.58, pp 183 - 217
- Pages
- 35
- Journal Title
- 언어사실과 관점
- Volume
- 58
- Start Page
- 183
- End Page
- 217
- URI
- https://scholarworks.sookmyung.ac.kr/handle/2020.sw.sookmyung/152059
- DOI
- 10.20988/lfp.2023.58..183
- ISSN
- 1738-1908
2765-4354
- Abstract
- 본고의 목적은 요구분석을 통해 한국어능력시험(TOPIK) 동영상 강의 콘텐츠 개발 원리를 마련하고, 이 원리에 입각하여 개발된 강의 콘텐츠 사례를 소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고에서는 한국어 학습자 7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각 언어권별 전문가 3인을 대상으로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그 결과를 바탕으로 토픽 II 동영상 강의 콘텐츠 개발 원리를 확정하고 교수요목을 설계한 후, 오리엔테이션과 듣기, 읽기, 쓰기의 세 영역을 포함한 총 21회의 동영상 강의를 제작하였다. 이 동영상은 한국어 편 영상을 기본으로 하여 중국어, 베트남어 교수진이 같은 내용을 자신의 모국어로 강의하는 시리즈물로 구성하였다. 아울러 동영상 강의 콘텐츠 개발 시 학습자들이 집중할 수 있는 강의 시간을 고려하였으며 학습자들의 모국어를 고려하여 각 언어권별 모어화자가 직접 강의를 진행하였다. 또한 시의성을 고려하여 최근 기출 문제를 최대한 반영하였고 학습자들의 동기와 흥미 유발을 위해 퀴즈, 질문 상황 시연 등의 장치를 마련하여 콘텐츠를 구성하였다. 아울러 ‘준비-분석-연습-평가-정리’ 5단계로 강의를 구성하여 체계적인 입력 과정을 설계하였으며 문제 유형별 전략 학습을 통해 배운 내용을 효과적으로 내재화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동영상 강의 콘텐츠 개발은 학습자 중심의 한국어 교육 콘텐츠 개발 과정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이다.
- Files in This Item
-
Go to Link
- Appears in
Collections - ETC > 1. Journal Articles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