곽시징 <오륜가>의 우정론- 마테오 리치 『교우론』과 비교하여Friendship of Kwak Sijing’s Oryunga (五倫歌): Compared to Matteo Ricci’s Gyowooron (交友論)
- Other Titles
- Friendship of Kwak Sijing’s Oryunga (五倫歌): Compared to Matteo Ricci’s Gyowooron (交友論)
- Authors
- 장세희; 엄국화
- Issue Date
- Dec-2022
- Publisher
- 한국기독교사회윤리학회
- Keywords
- 우정론; 곽ᄉᆞ부오륜가; 교우론; 보인; 책선; 곽시징; Friendship; Kwak Sijing; Oryunga; Gyowooron; Boin(輔仁); Chaksun(責善)
- Citation
- 기독교사회윤리, no.54, pp 305 - 331
- Pages
- 27
- Journal Title
- 기독교사회윤리
- Number
- 54
- Start Page
- 305
- End Page
- 331
- URI
- https://scholarworks.sookmyung.ac.kr/handle/2020.sw.sookmyung/152191
- DOI
- 10.21050/CSE.2022.54.10
- ISSN
- 1229-8387
2713-749X
- Abstract
- ‘붕우유신(朋友有信)’은 ‘우정(友情)’ 또는 ‘우도(友道)’가 수평적 관계에서 윤리의식을 구현한다는 점에서 우리의 삶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 18세기를 지나면서 사색당파의 고착, 성리학적 개념 해석의 정밀화, 마테오 리치(Matteo Ricci, 1552~1610) 『교우론(交友論)』의 유입 등을 계기로 우정에 대한 논의가 활발하게 전개되는데, 17세기 말 ‘회니시비(懷尼是非)’는 “누가 진정한 벗이며, 벗의 역할은 무엇인가”라는 문제의식을 불러온다. 붕비(朋比)의 소용돌이에 놓여있던 곽시징(郭始徵, 1644~1713)은 <오륜가(五倫歌)>를 통하여 답을 모색하였다. 곽시징이 생각한 우정의 본질은 “책선(責善)을 통한 인의 보완[輔仁]”이었다. 그리고 <오륜가>의 내용은 마테오 리치의 『교우론』과 상당 부분 일치점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우정론이 ‘담론화’되기 시작한 지점에 놓여있다고 할 수 있다. 두 글에서는 모두 우정을 ‘윤리’의 영역으로 인식하고 있으며, 우정을 “좋은 사람 되기” 위한 과정이라는 점을 강조하는데, 이는 이후 전개된 우정론의 핵심을 보여준다.
- Files in This Item
-
Go to Link
- Appears in
Collections - ETC > 1. Journal Articles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