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활용한청년 일자리의 질 유형분류 및 영향요인 분석Classifying Latent Profiles in youth quality of job and the influencing factors analysis

Other Titles
Classifying Latent Profiles in youth quality of job and the influencing factors analysis
Authors
지혜순이영민
Issue Date
Nov-2022
Publisher
한국직업능력연구원
Keywords
Quality of Job; Latent Profile Analysis(LPA); GOMS; 일자리의 질; 잠재프로파일분석; 대졸자직업이동경로조사
Citation
직업능력개발연구, v.25, no.3, pp 97 - 125
Pages
29
Journal Title
직업능력개발연구
Volume
25
Number
3
Start Page
97
End Page
125
URI
https://scholarworks.sookmyung.ac.kr/handle/2020.sw.sookmyung/152291
ISSN
2586-5048
Abstract
본 연구는 청년 일자리의 질 유형에 따른 잠재프로파일을 분류하고, 이에 따른 영향요인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한국고용정보원에서 제공하는 2019 대졸자 직업이동경로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청년 임금근로자 10,338명을 표집하였다. Mplus를 활용하여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실시하고 다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첫째, 잠재프로파일 분석결과 일자리의 질 유형은 4개의 집단이 도출되어 ‘평균 이하 일자리의 질’, ‘낮은 일자리의 질’ , ‘ 평균 이상 일자리의 질’ , ‘높은 일자리의 질’ 의 집단으로 명명하였다. 둘째, 연령과 성별에 따라서 일자리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대학 관련 요인이나 개인의 취업 준비 요인에 따라 일자리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근로시간과 일자리의 지위에 따라 일자리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월평균 급여와 직업별 숙련도에 따라서 일자리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청년 일자리 질을 높이기 위해서는 적극적 노동시장 정책의 재편, 취업지원을 위한 진로교육 프로그램의 제공, 일자리의 환경적 측면 개선을 위한 재정적 지원이 필요하다.
Files in This Item
Go to Link
Appears in
Collections
사회과학대학 > 행정학과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Lee, Young Min photo

Lee, Young Min
사회과학대학 (행정학과)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