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청년세대의 회복탄력성에 대한 헬리콥터 부모역할과 사회자본의 효과성 검증The Effect of Helicopter Parenting and Social Capital on the Resilience of Korean Young Adults

Other Titles
The Effect of Helicopter Parenting and Social Capital on the Resilience of Korean Young Adults
Authors
전지원
Issue Date
Mar-2021
Publisher
한국디지털정책학회
Keywords
Young Adults; Resilience; Helicopter parenting; Social Capital; 청년세대; 회복탄력성; 헬리콥터 부모역할; 사회자본
Citation
디지털융복합연구, v.19, no.3, pp 425 - 436
Pages
12
Journal Title
디지털융복합연구
Volume
19
Number
3
Start Page
425
End Page
436
URI
https://scholarworks.sookmyung.ac.kr/handle/2020.sw.sookmyung/153142
DOI
10.14400/JDC.2021.19.3.425
ISSN
2713-6434
2713-6442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청년세대의 회복탄력성 증진을 위한 영향 요인들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서울시와 수도권에 거주하고, 부모 모두 생존하며 부모 중 한 분 이상과 동거 중인 19세부터 34세 이하인 미혼 청년 총 464명의 응답을 최종분석자료로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자료분석은 SPSS 23.0과 AMOS23.0을 활용하여 기술통계, 요인분석, t-test, paired t-test, one-way ANOVA,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청년세대의 회복탄력성은 성별, 어머니의 헬리콥터 부모역할, 결속적 사회자본 및 교량적 사회자본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즉, 청년세대의 회복탄력성은 가정환경 변인과 사회환경 변인 등의 다각적인 영향에 의해 형성 및 증진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향후 상담 및 교육 현장에서 청년세대의 회복탄력성 증진 프로그램 개발 시 중점을 두어야 하는 기초 자료를 제공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 이와 함께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청년세대의 회복탄력성을 증진을 위한 시사점과 정책적 제언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ed variables of the resilience of Korean young adults. The sample was 464 young adults aged 19–34 years who had never been married, both parents alive and living with one or more of their parents in the Seoul metropolitan region.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factor analysis, t-test, paired t-test, one-way ANOVA,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ver.23 and AMOS 23.0. The resilience of young adults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variables of gender, maternal helicopter parenting, bonding social capital, and bridging social capital. As a result, this study showed that the resilience of young adults was formed and promoted by the combined effects of the family-related environment and social-related environm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 meaningful data that should be considered in the counseling and education field when developing programs to build the resilience of young adults. Policy implications for improving the resilience of Korean young adults are discussed.
Files in This Item
Go to Link
Appears in
Collections
생활과학대학 > 가족자원경영학과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