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모의 불안정 성인애착과 양육스트레스의 관계에서 배우자 지지의 매개효과The Mediating Effects of Perceived Spousal Support on Relations between Maternal Insecure Adult Attachment and Parenting Stress

Other Titles
The Mediating Effects of Perceived Spousal Support on Relations between Maternal Insecure Adult Attachment and Parenting Stress
Authors
임영화김해란
Issue Date
Apr-2020
Publisher
한국복지상담교육학회
Keywords
insecure adult attachment; perceived spousal support; parenting stress; 불안정 성인애착; 배우자 지지; 양육스트레스
Citation
복지상담교육연구, v.9, no.1, pp 225 - 247
Pages
23
Journal Title
복지상담교육연구
Volume
9
Number
1
Start Page
225
End Page
247
URI
https://scholarworks.sookmyung.ac.kr/handle/2020.sw.sookmyung/1551
DOI
10.20497/jwce.2020.9.1.225
ISSN
2287-6030
Abstract
본 연구는 미취학 자녀를 둔 어머니를 대상으로 불안정 성인애착(애착불안, 애착회피)과 양육스트레스와의 관계에서 배우자 지지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미취학 자녀를 둔 어머니 411명의 불안정 성인애착척도, 배우자 지지척도, 양육스트레스척도를 측정하는 설문을 실시하였고, 자료 분석 방법으로는 SPSS(PASW) 21.0 및 AMOS 21.0을 통해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불안정 성인애착(애착불안, 애착회피), 양육스트레스, 배우자 지지의 관계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애착불안과 양육스트레스, 애착회피와 양육스트레스 모두 유의한 정적상관이었으며, 애착불안과 배우자 지지, 애착회피와 배우자 지지 모두 유의한 부적상관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배우자 지지의 매개효과를 분석한 결과, 배우자 지지는 불안정 성인애착(애착불안, 애착회피), 양육스트레스의 관계에서 매개효과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불안정 성인애착의 두 차원 중 애착불안과 양육스트레스와의 관계에서 배우자 지지는 부분매개효과를, 애착회피와 양육스트레스와의 관계에서 배우자 지지는 완전매개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상담 의의 및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을 논의에 포함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test the mediating effects of perceived spousal suppor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secure adult attachment(attachment anxiety, attachment avoidance) and parenting stress. The data of total 411 mothers of preschool children aged 1∼7 around the nation was used in analysis. Collected data was analyzed with the SPSS 21.0 and AMOS 21.0 programs. The major findings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among insecure adult attachment(attachment anxiety, attachment avoidance), parenting stress, and perceived spousal support. Specifically, both attachment anxiety and attachment avoidance ha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with parenting stress and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s with perceived spousal support. Second, perceived spousal support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attachment anxiety and parenting stress, and fu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attachment avoidance and parenting stress.
Files in This Item
Go to Link
Appears in
Collections
특수대학원 > 교육대학원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