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은퇴적응 척도 개발 및 타당화A Study on the Development and Validity of the Retirement Adjustment Scale

Other Titles
A Study on the Development and Validity of the Retirement Adjustment Scale
Authors
이예림김봉환
Issue Date
Oct-2023
Publisher
한국상담학회
Keywords
retirement adjustment; transition to retirement; validation; retirement adjustment scale; 은퇴 적응; 은퇴 전환; 은퇴적응 척도; 타당화
Citation
상담학연구, v.24, no.5, pp 159 - 182
Pages
24
Journal Title
상담학연구
Volume
24
Number
5
Start Page
159
End Page
182
URI
https://scholarworks.sookmyung.ac.kr/handle/2020.sw.sookmyung/159428
DOI
10.15703/kjc.24.5.202310.159
ISSN
1598-2068
Abstract
본 연구는 은퇴자의 은퇴적응 수준을 측정하기 위한 은퇴적응 척도를 개발하고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문헌연구와 기존의 척도를 고찰하고 은퇴적응의 다양한 측면을 설명할 수 있는 이론으로 알려진 자원기반 동적모델을 중심으로 은퇴적응의 잠정적 구성요인을 설정하였다. 다음으로 개방형 설문조사와 심층면담을 진행하여 155개의 초기 문항을 구성하였고 이에 대한 전문가 내용타당도 검증을 2회 실시하여 46문항의 최종 예비문항을 확정하였다. 척도개발을 위하여 50세 이상의 은퇴자 272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고 수집한 자료를 바탕으로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신체적 적응, 재정적 적응, 사회적 적응, 정서적 적응, 동기적 적응, 가족관계 적응의 6요인 구조를 도출하였다. 척도 타당화를 위하여 척도개발과 동일한 조건의 은퇴자 427명의 자료를 수집하여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6요인 구조의 적합성을 확인하였고 최종 6요인의 27문항의 척도가 개발되었다. 준거관련 타당도는 삶의 만족, 노인 삶의 질, 은퇴 스트레스 척도와의 상관분석을 통하여 확보하였다. 척도의 전체 신뢰도 계수는 .954이며 하위요인의 신뢰도는 .734-.941 범위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Files in This Item
Go to Link
Appears in
Collections
문과대학 > 교육학부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