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십이체 장고춤의 춤사위에 내재된 상징성에 관한 연구A Study on the Symbolism Inherent in the Dance Moves of the Twelve-forms Janggo Dance

Other Titles
A Study on the Symbolism Inherent in the Dance Moves of the Twelve-forms Janggo Dance
Authors
송나경김정은
Issue Date
Sep-2023
Publisher
한국무용연구학회
Keywords
한국무용; 전통춤; 십이체 장고춤; 춤사위; 상징성; Korean traditional dance; traditional dance; Twelve-forms Janggo dance; movement of dance; symbolism
Citation
한국무용연구, v.41, no.3, pp 1 - 20
Pages
20
Journal Title
한국무용연구
Volume
41
Number
3
Start Page
1
End Page
20
URI
https://scholarworks.sookmyung.ac.kr/handle/2020.sw.sookmyung/159452
DOI
10.15726/jkd.2023.41.3.001
ISSN
1975-8502
2713-8704
Abstract
연구목적: 이 연구는 십이체 장고춤의 자연에 기인한 열두 가지 춤사위의 상징성을파악하는 데 목적이 있다. 더불어 십이체 장고춤의 미적 가치를 살펴보고 구조화된 형식을 추가적으로 기술해보았다. 연구방법: 연구방법은 문헌연구로서 한혜경의「십이체 장고춤」무보집을 중심으로 춤사위에 관한 생태적 분석이 시도되었다. 연구결과: 12가지의 춤사위로 이루어진 십이체 장고춤의 경우 장단별 춤의 상징성이 모두 자연과 연관됨을 알 수 있었다. 발디딤과 도약에서 보여주는 다양한 움직임 형상들은 자연경관과 결합되어 ‘비연체’, ‘어미동체’, ‘하늘받침체’, ‘풍엽체’, ‘새부리체’, ‘끌체’, ‘절체’ 등의 일곱 가지 춤사위로 전개되고 있었다. 결론: 생태적 움직임에 기인한 열두 가지 춤사위는 전통 교방 장고춤을 조명해 볼 수 있는 역사적 기록인 만큼 추후 장고춤표현의 정교함과 기능적 세련됨에 관한 학술적 접근 시 이 연구가 유용한 자료로 활용되길 기대해 본다.
Files in This Item
Go to Link
Appears in
Collections
ETC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