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호주 ATPC 사업 원조효과성 성과지표 분석 연구The Case Study on Australian ATPC Project Focusing on Assistance Impact Assessment

Other Titles
The Case Study on Australian ATPC Project Focusing on Assistance Impact Assessment
Authors
신하영박소영
Issue Date
Jan-2020
Publisher
한국외국어대학교 국제지역연구센터
Keywords
Higher Education ODA; Australian ODA project; Assistance impact assessment; ODA assessment indicator; ATPC; 고등교육 ODA; 호주 ODA 사례; 원조효과성; ODA 평가; 성과지표
Citation
국제지역연구, v.24, no.1, pp.225 - 252
Journal Title
국제지역연구
Volume
24
Number
1
Start Page
225
End Page
252
URI
https://scholarworks.sookmyung.ac.kr/handle/2020.sw.sookmyung/1685
DOI
10.18327/jias.2020.1.24.1.225
ISSN
1226-5810
Abstract
본 연구는 고등교육 ODA 사업의 효과성을 높이기 위해 호주의 ATPC 사업에서 개발ㆍ적용한 평가 모형과 지표를 분석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 수행을 위해, 사례조사의 방법을 따라 호주 APTC 사업 관련 원천자료를 소개한 후, 이를 OECD DAC의 평가 기준과 체제모형에 따라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국내 고등교육 ODA 사업 성과지표 개발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사례연구 결과 다음과 같은 연구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호주 APTC 사업은 사업의 최종목표로 아시아-태평양 지역 청년의 고용 증대를 설정하고 노동인력 양성을 위해 고등교육 수혜자 규모를 확대하는 양적 측면과 수원국 내 취업시장에서 성과를 보장하는 질적 측면을 모두 강조하는 지표로 평가모형을 구성하였다. 둘째, 사업의 기획 단계에서부터 산업계 수요를 반영해서 교육과정 정ㆍ현원을 관리하고, 재학 중 산업현장에서 실습기회를 가질 수 있도록 현지 산업계 주체들과 공조하며, 졸업생의 취업처를 확보하는 데까지 폭넓게 산업계와 협력하도록 성과지표를 통해 유도하였다. 마지막으로, 전문지식 및 산업계 지식 전수가 중요한 사업의 특징을 살려, 대학 내 인력 양성과 역량 강화를 위해 교직원 능력의 개선 정도를 확인하기 위한 측정지표를 고도화하였다. 본 연구에서 분석한 호주 APTC 평가 사례와 같이, 고등교육 ODA 사업은 전문인력의 양성 및 인력수급체계를 마련하는 데 사업의 목적을 두는 만큼, 졸업생 진출이 예상되는 산업계 수요를 고려해서 목표를 설정해야 한다. 본 연구를 통해 국내 고등교육 ODA 원조효과성 평가를 위한 지표 개발에 있어 수원국의 고등교육 체제와 주요 산업에 미칠 수 있는 영향력, 졸업생의 취업 네트워크 구축 계획 등을 고려하도록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Files in This Item
Go to Link
Appears in
Collections
문과대학 > 교육학부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Park, So Young photo

Park, So Young
문과대학 (교육학부)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