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사회 노인을 위한 식생활 개선 프로그램 개발 항목에 대한 타당성 연구Feasibility Study on the Dietary Improvement Program Development for Senior Citizens
- Other Titles
- Feasibility Study on the Dietary Improvement Program Development for Senior Citizens
- Authors
- 김성희; 김보람; 주나미
- Issue Date
- Jun-2017
- Publisher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
- Keywords
- dietary improvement program; senior citizens; welfare facilities for the aged; home care for the aged
- Citation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v.22, no.3, pp 218 - 227
- Pages
- 10
- Journal Title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Volume
- 22
- Number
- 3
- Start Page
- 218
- End Page
- 227
- URI
- https://scholarworks.sookmyung.ac.kr/handle/2020.sw.sookmyung/2339
- DOI
- 10.5720/kjcn.2017.22.3.218
- ISSN
- 1226-0983
2287-1624
- Abstract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develop dietary change program items that could be used to improve dietary life of the elderly and investigate their validity.
Methods: The survey was were analyzed by SPSS program (Ver. 21) and descriptive statistics was performed; a t-test, χ² test, One-way ANOVA and Friedman test were used to determine the priority.
Results: Programs for feeding senior citizens that need to be newly established are largely divided into two fields, namely, application of welfare facilities and application of home care, classified into large, medium and sub-classes. The large class was divided into nutrition management, sanitary control, and other health management. The medium class of nutrition management was divided into nutrition education, nutrition intervention, and menu management and supply. The sub-class was composed of division into application of welfare facilities for the elderly and application of home care for the same age group. Responses showed high rate saying that all the categorized items were necessary and valid. With respect to expectation effect on a community program for old people feeding, ‘yes’was 65 people (55.6%) showing very high expectation toward the question whether a community program for old people feeding are newly set up.
Conclusions: It is believed that nutrition for the aged will be improved and it will be a help not only to a small facilities without obligation of employing a dietician but also to the aged at home if a community program for old people feeding are newly established.
본 연구는 전국 노인요양시설 영양사를 대상으로, 총 125 부를 최종 자료 분석에 사용하였다.
1. 조사대상자가 소속된 시설의 수는 총 125개소였으며, 이들의 ‘연령’은 30세 이상-39세 미만 33명(28%)과 40 세 이상-49세 미만 33명(28%)이 가장 많았다. 급식운영의 문제점은 ‘조리 인력 부족’이 60명(51.7%)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2. 신설하고자 하는 노인급식 프로그램을 크게 두 영역으로 노인복지시설 적용과 재가 노인 적용으로 구분하였으며대분류, 중분류, 소분류로 나누었다.
프로그램의 타당성 조사 결과를 보면 대분류는 ‘위생관리’, ‘영양관리’, ‘기타 건강관리' 순으로 대분류 영역 모두(4.0) 이상 높게 나타났다. 중분류의 구성 항목의 타당성 결과는, ‘영양관리’에 있어서는 ‘식단관리 및 보급’(4.27)이 높았고‘위생관리’에 있어서는 ‘조리 관리(4.18)’, ‘건강관리’에 있어서는 ‘정신적 건강관리’(4.14)가 높게 나타났다. 소분류구성 항목 중 시설 적용의 타당성 결과, 중분류인 영양교육에 있어서 ‘노인 식생활 지침 교육 및 영양 상담’(4.06)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영양중재’에 있어서는 ‘질환별 식단관리및 영양 상담(3.9), 식단관리 및 보급에 있어서는 ‘표준 레시피 개발 및 보급: 일반식과 치료식 구분(4.13), ‘구매 및조리’에 있어서는 ‘노인급식 위생관리 지침서 개발 및 보급이 높게 나타났다.
3. 재가 적용 소분류의 타당성 결과는, ‘영양교육’에 있어서는 ‘노인 식생활 지침 및 영양 상담’(4.21), ‘영양중재’에있어서는 ‘질환별 식단관리 및 영양 상담’(4.13), ‘식단관리및 보급’에 있어서는 ‘식사 배달 서비스 운영’(4.01), ‘구매및 조리’에 있어서는 ‘식품 구매 요령 개발 및 보급’ (3.84), ‘급식 위생 관리’에 있어서는 ‘식품 위생 안전관리 포스터 개발 및 보급’(3.87), ‘육체적 건강관리’에 있어서는 ‘방문 간호 서비스 운영’(4.21), ‘정신적 건강관리’에 있어서는 ‘방문 단기보호 서비스 및 주야간보호 서비스 운영’(4.12), ‘식품개발’에 있어서는 ‘실버 푸드 개발’(4.07)이 높게 나타났다.
4. 프로그램 기대효과에서 ‘노인시설의 영양증진이 이루어질 수 있다고 생각 하는가’와 ‘재가노인에게 도움이 될 거라고 생각 하는가’의 질문에 ‘그렇다’라고 응답한 사람이 각각 65명(55.6%)과 64명(54.7%)으로 가장 많았다.
따라서 노인급식 지역사회 프로그램이 신설되면 노인영양증진이 이루어지고 영양사 고용의무가 없는 소규모 시설을포함하여 재가 노인에게도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인구 고령화로 노인인구가 급증하고 있다. 비슷한 문제를안고 있는 미국, 일본 등 외국에서는 이미 다양한 노인영양프로그램이 개발되어 시행되고 있는 것과 비교하여 우리나라는 미흡한 상태이다. 늘어나는 기대여명으로 노후가 길어짐에 따라 노인들이 적절하게 영양을 섭취하는 것은 사회적비용을 줄이는 길이며 노인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것이므로 노인 식생활 개선에 지속적으로 연구가 되어야 할 것이다
- Files in This Item
-
Go to Link
- Appears in
Collections - 생활과학대학 > 식품영양학과 > 1. Journal Articles
![qrcode](https://api.qrserver.com/v1/create-qr-code/?size=55x55&data=https://scholarworks.sookmyung.ac.kr/handle/2020.sw.sookmyung/2339)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