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여성의 삶의 만족, 우울, 희망의 관계에서 결혼의 의미The Meaning of Marriag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atisfaction, Depression and Hope of Korean Women
- Other Titles
- The Meaning of Marriag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atisfaction, Depression and Hope of Korean Women
- Authors
- 김혜영; 이숙정; 박소연
- Issue Date
- Nov-2019
- Publisher
-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 Keywords
- 결혼적령기; 여성의 결혼; 희망; 삶의 만족; 우울; Marriage Age; Women' s Marriage; Hope; Life Satisfaction; Depression
- Citation
-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v.9, no.11, pp.903 - 911
- Journal Title
-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 Volume
- 9
- Number
- 11
- Start Page
- 903
- End Page
- 911
- URI
- https://scholarworks.sookmyung.ac.kr/handle/2020.sw.sookmyung/2718
- DOI
- 10.35873/ajmahs.2019.9.11.081
- ISSN
- 2383-5281
- Abstract
- 본 연구는 혼인율, 출산률 등 한국사회를 이해하기 위해 한국여성들의 심리적인 요소들을 파악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판단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여성을 대상으로 삶의 만족, 우울이 희망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진행되었다. 분석 결과 삶에 만족할수록 희망적임을 확인하였고, 우울과 희망간에 부적상관이 있음을 파악하였다. 그 중에서 결혼 여부가 삶의 만족과 우울이 희망을 설명하는데 있어 증분 설명량이 있음을 알아보았는데,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삶의 만족 변인만을 투입했을 때보다 결혼 여부 변인이 추가됨에 따라 희망을 설명하는 설명량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이를 통해 한국여성, 특히 결혼적령기의 여성들의 삶에 대한 만족이 희망에 긍정적 영향을 주지만 미혼 상태보다는 기혼인 경우에 더 희망적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우울할수록 희망이 감소하는데, 우울이 희망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반면 결혼 여부 변인은 삶의 만족이 희망에 미치는 영향 분석에서와 마찬가지로 미혼보다는 기혼일 때 희망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현재 삶에 대한 만족 상태의 지각이나 우울 정도가 삶에 대한 희망에 영향을 주는 것과 아울러 결혼 상태가 미혼일 때보다는 기혼일 때 희망에 더 긍정적임을 알 수 있었다.
- Files in This Item
-
Go to Link
- Appears in
Collections - 대학 > 기초교양대학 > 기초교양학부 > 1. Journal Articles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