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중문화 텍스트를 활용한 비판적 사고 교육의 구조화 방안 연구 - 디즈니 ‘공주’ 신화의 비판적 이해 수업 실천 사례를 중심으로The Study on the Structured Way of Critical Thinking Education Using Popular Culture Text
- Other Titles
- The Study on the Structured Way of Critical Thinking Education Using Popular Culture Text
- Authors
- 김병구
- Issue Date
- Oct-2019
- Publisher
- 한국 리터러시 학회
- Keywords
- critical thinking; Cultural Studies; popular culture; Disney princess mythology; signification; cooperative learning; divergent discussion; convergent debate; critical writing; 비판적 사고; 문화연구; 대중문화; 디즈니 공주 신화; 의미 작용; 협동 학습; 발산적 토의; 수렴적 토론; 비평 글쓰기
- Citation
- 리터러시 연구, v.10, no.5, pp.325 - 365
- Journal Title
- 리터러시 연구
- Volume
- 10
- Number
- 5
- Start Page
- 325
- End Page
- 365
- URI
- https://scholarworks.sookmyung.ac.kr/handle/2020.sw.sookmyung/2774
- DOI
- 10.37736/kjlr.2019.10.10.5.325
- ISSN
- 2586-7229
- Abstract
- 본고는 비판적 사고 교육이 외연을 넓힐 필요가 있다는 문제의식에 서서 그 일환으로 문화연구의 관점에서 대중문화 텍스트에 대한 비판적 이해를 구조화할 수 있는 수업 방안을 제시하였다. 본고에서 밝힌 논점은 다음 두 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교육 내용의 측면에서 디즈니 공주 신화의 의미 작용 분석을 중심으로 대중문화 텍스트에 대한 비판적 이해를 도모한 수업 실천을 통해 학습자들은 사회적 차이의 역학에 의해 형성된 차별 및 고정 관념에 대해 비판적으로 사고하는 태도를 학습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질 수 있었다.
교육 방법의 측면에서 협동 학습의 원리에 따라 발산적 토의 단계에서 수렴적 토론 단계로 이어지는 과정이 학습자 개개인이 발산적 차원의 창의적 비평 글쓰기를 수행하는 단계와 유기적으로 결합할 수 있는 수업을 통해 학습자들은 자신에게 내면화된 차별 및 고정관념을 성찰할 수 있는 기회를 얻을 수 있었다.
- Files in This Item
-
Go to Link
- Appears in
Collections - 대학 > 기초교양대학 > 기초교양학부 > 1. Journal Articles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