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다문화가족지원센터 이용 경험이 다문화 청소년의 이중문화 정체성에 미치는 영향: 성향점수매칭을 중심으로The Effects of Using the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s on the Bicultural Identity of the Multicultural Youths: Focusing on Propensity Score Matching

Other Titles
The Effects of Using the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s on the Bicultural Identity of the Multicultural Youths: Focusing on Propensity Score Matching
Authors
박미경차용진이홍재
Issue Date
Oct-2019
Publisher
숙명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연구원
Keywords
이중문화 정체성; 다문화 청소년; 다문화가족지원센터; 성향점수매칭; Bicultural Identity; Multicultural Youth;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 Propensity Score Matching
Citation
다문화사회연구, v.12, no.3, pp 107 - 140
Pages
34
Journal Title
다문화사회연구
Volume
12
Number
3
Start Page
107
End Page
140
URI
https://scholarworks.sookmyung.ac.kr/handle/2020.sw.sookmyung/2775
DOI
10.14431/jms.2019.10.12.3.107
ISSN
2005-2553
Abstract
본 연구는 다문화 청소년들의 다문화가족지원센터 이용 경험이 이중문화 정체성 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2015년 전국다문화가족실태조사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다문화 청소년의 다문화가족지원센터 이용이 이중문화 정체성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회귀분석과 성향점수매칭 분석을 시도하였다. 회귀분석 결과에서는 다문화 청소년의 다문화가족지원센터 이용 경험이 이중문화 정체성 형성에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일수록, 연령이 낮을수록, 한국 국적이 없을 경우, 외국생활 경험이 있을수록, 자아존중감이 높을수록, 사회적 차별경험이 있을수록 이중문화 정체성 형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성향점수매칭 분석에서도 회귀분석과 동일하게 다문화가족지원센터 이용 경험이 있는 다문화 청소년이 이용 경험이 없는 청소년에 비해 긍정적인 이중문화 정체성을 형성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문화가족지원센터 이용 여부가 다문화 청소년의 이중문화 정체성을 형성하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는 회귀분석과 성향점수매칭에서 일관되게 나타났다. 다만 이중문화 정체성에 대한 다문화가족지원센터 이용의 회귀계수 값이 회귀분석과 성향점수매칭 분석에서 상이하게 나타나고 있다는 점은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상의 분석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다문화 청소년의 긍정적인 이중문화 정체성 형성을 위한 이론적⋅정책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This study analyzes the effects of using the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s on the bicultural identity of multicultural youths. For this purpose, regression and propensity score matching analyses are attempted to examine the effects using the 2015 national multicultural survey. The results of regression analyses show that the experience of using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s is positive for forming a bicultural identity. For women, younger age, no Korean nationality, more foreign life experience, higher self-esteem, and more social discrimination experience, the formation of bicultural identity is found to be high. Similar to the results of regression, the results of propensity score matching indicate that multicultural adolescents experienced with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s have positive bicultural identities compared to adolescents without such experiences.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use of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s positively influences the formation of bicultural identities among multicultural adolescents. These results are consistent in regression and propensity score matching. However, it is worth noting that the regression coefficients for the use of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s among those with a bicultural identity differ between regression and propensity score matching.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suggests theoretical and policy implications for the formation of a positive bicultural identity for multicultural youths.
Files in This Item
Go to Link
Appears in
Collections
사회과학대학 > 행정학과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Cha, Yong Jin photo

Cha, Yong Jin
사회과학대학 (행정학과)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