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Play Therapists’ Experience of School-Based Play Therapy: Community Professional Resource Connections between an Elementary School and University초등학교 파견 놀이치료자의 경험에 대한 연구: 초등학교-대학교 지역사회 전문자원 연계 상담프로그램

Other Titles
초등학교 파견 놀이치료자의 경험에 대한 연구: 초등학교-대학교 지역사회 전문자원 연계 상담프로그램
Authors
이은아김한희영서인숙유미숙
Issue Date
Feb-2017
Publisher
한국놀이치료학회
Keywords
School-based play therapy; child-centered play therapy; community professional resource connection; grounded theory; 학교기반 놀이치료; 아동중심 놀이치료; 지역사회 전문자원 연계; 근거이론
Citation
한국놀이치료학회지, v.20, no.1, pp 81 - 103
Pages
23
Journal Title
한국놀이치료학회지
Volume
20
Number
1
Start Page
81
End Page
103
URI
https://scholarworks.sookmyung.ac.kr/handle/2020.sw.sookmyung/3079
DOI
10.17641/KAPT.20.1.5
ISSN
1229-0858
2384-0153
Abstract
본 연구는 초등학교에 파견된 놀이치료자의 경험을 탐색하고, 그 의미과정을 밝히는 이론을 개발하고자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연구참여자 8명을 대상으로 포커스 그룹 면접을 실시하였고 근거이론방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90개의 개념과 25개의 하위범주, 11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패러다임 모형의 중심현상은 ‘초등학교 파견 놀이치료자의 고군분투’와 ‘다양한 관계를 맺으며 협력하는 과정의 어려움’으로 나타났다. 초등학교 파견 놀이치료자들의 경험의 과정은 (1) 학교기반 놀이치료에 대한 혼란을 경험하는 단계, (2) 수퍼비전과 동료자문을 통해 장애물을 극복해 나가는 단계, (3) 아동과 깊이 있는 관계를 경험하며 치료관계의 의미를 체득하는 단계, (4) 지식, 기술, 개인적 경험을 통합해 가는 단계, (5) 학교기반 놀이치료 경험의 의미를 발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연구는 초등학교 파견 놀이치료자들의 경험을 처음으로 분석하고 그 경험에 대한 의미과정 이론을 구축하려는 시도를 한 탐색적인 연구라는 것과 학교현장에 아동의 발달적 필요에 부응하는 놀이치료를 연계하여 그 치료적 의미를 확인하였다는데 의의를 지닌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theory explaining the experience of play therapists who were sent to an elementary school as a part of community professional resource connection. 8 participants were recruited and focus group interviews were analyzed based on grounded theory, yielding 90 concepts, 25 sub-categories, 11 categories of major themes. The phenomena were identified as ‘struggles as play therapists who were sent to a school setting’ and ‘distress in building cooperative relationships with the many significant others of the client.’ The process of the play therapists’ experience included the following: (1) Experiencing confusion in school-based play therapy, (2) Overcoming challenges through supervision and peer consultation, (3) Experiencing a deep therapeutic relationship and the personal meaning of the therapeutic relationship, (4) Moving a step forward through the process of integrating knowledge, skills, and personal experience, and (5) Discovering the meaning of school-based play therapy. These findings suggest a number of implications for mental health professionals and school personnel to promote the further development of school-based play therapy in an effort to support community children and their families
Files in This Item
Go to Link
Appears in
Collections
생활과학대학 > 아동복지학부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