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안보를 위한 공공기관의 내부자 정보 유출 예방대책: 사이버 안보·형사정책 관점Issues and Preventions of Insider Information Leakages in Public Agencies for National Security: Cyber Security and Criminal Justice Perspectives
- Other Titles
- Issues and Preventions of Insider Information Leakages in Public Agencies for National Security: Cyber Security and Criminal Justice Perspectives
- Authors
- 최관; 김민지
- Issue Date
- Dec-2016
- Publisher
- 한국융합보안학회
- Keywords
- Insider Information Leakage; Information Security System; Prevention; National Security; Criminal Justice
- Citation
- 융합보안 논문지, v.16, no.7, pp 167 - 172
- Pages
- 6
- Journal Title
- 융합보안 논문지
- Volume
- 16
- Number
- 7
- Start Page
- 167
- End Page
- 172
- URI
- https://scholarworks.sookmyung.ac.kr/handle/2020.sw.sookmyung/3185
- ISSN
- 1598-7329
- Abstract
- 이 연구는 사이버 안보 및 형사정책 관점에서 공공기관의 내부자 정보유출에 대한 예방대책을 제시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2장에서는 공공기관 정보보안시스템의 정의 및 이용현황에 대해서 살펴보았고, 3장에서는 웹서비스 기반 정보유출과 악성코드 기반 정보유출에 대해서 살펴보고, 국가안보적 측면에서 2014년에 발생했던 3대 카드사 개인정보유출사건에 대한 사례분석을 정보유출과 내부자의 연관성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4장에서는 본 연구의 대책으로서 크게 4가지를 제시하였는데 첫째, 사용자 기반 웹 필터링 솔루션을 통한 정보유출 차단으로서 악성코드에 대한 노출빈도를 제한하며, 개인정보가 포함된 경우 역시 차단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둘째, 악성코드에 의한 정보유출을 예방하기 위해 백신 및 백신관리시스템을 도입하여야 한다. 셋째, 전용 악성코드에 의한 정보유출을 차단하기 위해 내부망에서의 이동식 매체 사용을 자제하고, 해당 악성코드에 맞는 전용백신을 주기적으로 활용하여야 한다. 넷째, 스마트폰용 악성코드로부터 정보유출을 예방하기 위해 암호화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하여 중요 정보에 대한 암호화 저장이 이루어져야 한다.
- Files in This Item
-
Go to Link
- Appears in
Collections - 사회과학대학 > 사회심리학과 > 1. Journal Articles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