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놀이치료 다영역 평가척도(MSSPT)의 개발 및 타당화 연구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Multidimensional Screening Scale in Play Therapy(MSSPT)

Other Titles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Multidimensional Screening Scale in Play Therapy(MSSPT)
Authors
이영애
Issue Date
Feb-2019
Publisher
한국놀이치료학회
Keywords
play therapy; play behaviors; multidimensional screening scale; social-emotional problems; factor analysis; 놀이치료; 놀이행동; 다영역 평가척도; 사회정서문제; 요인분석
Citation
한국놀이치료학회지, v.22, no.1, pp 123 - 150
Pages
28
Journal Title
한국놀이치료학회지
Volume
22
Number
1
Start Page
123
End Page
150
URI
https://scholarworks.sookmyung.ac.kr/handle/2020.sw.sookmyung/3806
DOI
10.17641/KAPT.22.1.7
ISSN
1229-0858
2384-0153
Abstract
이 연구는 사회정서문제를 가지고 있는 만 4세~만 6세 아동들의 놀이치료 장면에서 놀이행동 관찰을 통해 아동의 인지, 언어, 정서, 사회성와 자극처리 등의 다영역 기능을 평가하기 위한 척도를 개발하고 타당화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구체적인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놀이치료 시 다영역 평가척도를 개발하기 위해 선행연구들과 170개의 놀이치료 회기를 내용분석하여 총 5개의 상위범주와 24개의 하위범주가 도출되었다. 이를 총 120개의 관찰 가능한 문항으로 구성 후 총 5인의 전문가들의 내용타당도 검증을 받은 후 총 93개 문항의 예비 척도를 구성하였다. 둘째, 놀이치료사 및 전문가 200명에게 예비척도에 응답하게 한 자료에 대해 문항분석과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최종 4개 요인 28개의 문항을 도출하였다. 각 하위요인은 행동조절, 정서, 자극처리, 표현으로 나타났다. 셋째, 86명의 놀이치료사 및 전문가들에게서 아동 내담자의 놀이치료 총 219사례를 대상으로 2차조사를 실시하여 1차조사에서 개발한 28문항 놀이치료 시 다영역 평가척도에 대한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4개 요인 모형의 적합도 수준은 비교적 적절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넷째, 놀이치료 시 다영역 평가척도의 신뢰도를 검증하였고 전체 척도 및 하위 요인별 신뢰도를 검증한 결과 모두 높게 나타났다. 다섯째, 놀이치료 시 관찰 가능한 다영역을 측정하는 척도들과의 상관관계를 통해 살펴 본 공인타당도는 부분적으로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MSSPT는 놀이치료 시 만 4세~만 6세 아동들이 보이는 놀이행동을 관찰하여 다영역에서 아동이 보이는 사회정서 문제를 측정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그러나 공인타당도 검증 시 연구대상의 수가 적어 추후 연구를 통해 개발한 척도의 타당성을 검증할 필요가 있다. 또한, 언어영역은 연령별로 예비문항을 구성하여 요인분석이 어려워 보충문항으로 구성하였으므로 추후 연구를 통해 언어영역에 대한 타당성 또한 검증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nd validate the Multidimensional Screening Scale in Play Therapy (MSSPT) for 4~6 year old children with social-emotional problems. In Research 1, which was used for developing the scale itself, 120 items and 5 subscales were extracted through a review of the theoretical literature and content analysis for 170 play therapy sessions. The items were then reduced to 93 through content validity analysis undertaken by 5 professionals. The 93 items of the preliminary scale were then given to 200 play therapists and supervisors. After item analyses and exploratory factor analyses had been conducted, 28 items of 4 factors remained, and these constituted the final scale. The subscales of the final MSSPT are as follows; control of behavior, affect, stimulus processing, and expression. In particular, domain of language was excluded from factor analyses because of age-based quality issues. Therefore, items related to language constituted additional screening. In Research 2, this study verified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final scale, undertaken over 219 play therapy sessions. The estimates of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provided a good fit to the data. The MSSPT had reasonable reliability, as were the correlations between the subscale and construct validity. The results for reliability, correlations between the subscales, and concurrent validity confirmed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MSSPT. The MSSPT will be most useful to play therapists when it comes to screening social-emotional problems amongst children. However, this study was limited to a small sampling of child clients for concurrent validity; therefore, the validation of the MSSP in a follow-up study may well be necessary.
Files in This Item
Go to Link
Appears in
Collections
심리치료대학원 > 놀이치료학과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Lee, Young ae photo

Lee, Young ae
심리치료대학원 (놀이치료학과)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