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시지 프레이밍과 콘텐츠 유형에 따른 청소년 자살 예방 캠페인 효과에 관한 연구
DC Field | Value | Language |
---|---|---|
dc.contributor.author | 오아름 | - |
dc.contributor.author | 이현진 | - |
dc.contributor.author | 김활빈 | - |
dc.date.available | 2021-02-22T07:45:32Z | - |
dc.date.created | 2020-09-02 | - |
dc.date.issued | 2019-09 | - |
dc.identifier.issn | 1227-8181 | - |
dc.identifier.uri | https://scholarworks.sookmyung.ac.kr/handle/2020.sw.sookmyung/3944 | - |
dc.description.abstract | 본 연구는 예방의 측면에서 다른 연령층보다 자살 예방 효과가 큰 청소년을 대상으로 메시지 프레이밍과 콘텐츠 유형에 따른 자살 예방 캠페인 효과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연구는 2(손실/이익) × 2(웹툰/동영상)의 집단 간 실험 설계에 의한 온라인 실험으로,316명의 청소년 온라인 조사 패널을 대상으로 실시되었다. 실험 자극물은 손실과 이익프레이밍으로 제시된 메시지를 웹툰과 동영상에 적용하여 총 네 가지 유형으로 제작되었다. 자살 예방 캠페인의 메시지 프레이밍과 콘텐츠 유형의 상호작용 효과를 살펴본결과, 메시지 태도와 메시지 전파 의도에서 메시지 프레이밍의 주효과를 확인하였으며,자살 예방 행동 의도에서 메시지 프레이밍과 콘텐츠 유형 간의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났다. 특히 메시지 태도와 메시지 전파 의도에서는 손실 메시지 프레이밍이 이익 메시지프레이밍보다 높은 효과를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호작용 효과와 관련해서 구체적으로 웹툰의 경우 자살 예방 행동 의도가 손실 메시지 프레이밍에 크게 영향을 받는 반면,동영상은 이익 메시지 프레이밍이 높게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본 연구는 실제 청소년을 대상으로 자살 예방 캠페인을 진행할 경우 메시지를 제작할 때 이익프레이밍보다는 손실 프레이밍에 기초하는 것이 더 효과적일 것이라는 실무적 함의를제공한다. | - |
dc.language | 한국어 | - |
dc.language.iso | ko | - |
dc.publisher | 한국광고홍보학회 | - |
dc.title | 메시지 프레이밍과 콘텐츠 유형에 따른 청소년 자살 예방 캠페인 효과에 관한 연구 | - |
dc.title.alternative | The Effectiveness of Suicide Prevention Campaign for Adolescents by Message Framing and Content Types | - |
dc.type | Article | - |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 | 오아름 | - |
dc.identifier.doi | 10.16914/ar.2019.122.35 | - |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 | 광고연구, no.122, pp.35 - 70 | - |
dc.relation.isPartOf | 광고연구 | - |
dc.citation.title | 광고연구 | - |
dc.citation.number | 122 | - |
dc.citation.startPage | 35 | - |
dc.citation.endPage | 70 | - |
dc.type.rims | ART | - |
dc.identifier.kciid | ART002513761 | - |
dc.description.journalClass | 2 | - |
dc.description.isOpenAccess | N | - |
dc.description.journalRegisteredClass | kci | - |
dc.subject.keywordAuthor | 자살 예방 캠페인 • 이익/손실 프레이밍 • 웹툰 • 콘텐츠 유형 • 청소년 | - |
dc.subject.keywordAuthor | suicide prevention campaign • gain/loss framing • webtoon • content types • adolescent | - |
dc.identifier.url | https://www.earticle.net/Article/A346473 | - |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ookmyung Women's University. Cheongpa-ro 47-gil 100 (Cheongpa-dong 2ga), Yongsan-gu, Seoul, 04310, Korea 02-710-9127
Copyright©Sookmyung Women's University. All Rights Reserved.
Certain data included herein are derived from the © Web of Science of Clarivate Analytics. All rights reserved.
You may not copy or re-distribute this material in whole or in part without the prior written consent of Clarivate Analytic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