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3.1의 경험과 ‘기미이후’의 모색: 3.1 전후세대 여성문인들의 대응-김일엽 사상과 문학을 중심으로The Experience of the March 1st Movement and The First-generation Female Writers-Focusing on Kim Il-yeop’s Thought and Literature

Other Titles
The Experience of the March 1st Movement and The First-generation Female Writers-Focusing on Kim Il-yeop’s Thought and Literature
Authors
김지윤
Issue Date
Aug-2019
Publisher
한국현대문학회
Keywords
March 1st Movement; Kim Il-yeop; The First-generation Female Writers; New Woman; Reconstruction; the Joseon Buddhist Youth Movement under the Japanese Colonial Rules; anarcha-feminisim.; 3.1운동; 김일엽; 1세대 여성문인; 청년세대; 불교; 아나카페미니즘
Citation
한국현대문학연구, no.58, pp 9 - 54
Pages
46
Journal Title
한국현대문학연구
Number
58
Start Page
9
End Page
54
URI
https://scholarworks.sookmyung.ac.kr/handle/2020.sw.sookmyung/3969
DOI
10.22871/mklite.2019..58.001
ISSN
1229-2052
Abstract
3.1운동은 당대 청년들의 세상에 대한 인식, 감각을 전체적으로 변혁시킨 ‘사건’이었다. 3.1을 계기로 저항주체로 부상한 청년 세대에는 여성이 포함되어 있었음에도 3.1과 여성, 특히 3.1 전후 세대에 해당되는 1기 여성 문인들과 3.1과의 연관성을 주목하여 바라본 연구는 드물다. 그러나 1세대 여성문인들의 삶과 사상, 문학은 여성문학 내에서 별도로 연구될 것이 아니라 전체 청년 담론의 장 안에서 다시 위치 지어질 필요가 있다. 3.1운동은 여성들이 규방의 존재가 아니라 밖으로 나와 사회의 일원이 될 수 있고, 더 나아가 사회개조의 주체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해주었다. 이 글은 당대의 ‘청년여자’ 세대에 주목하여, 그들이 ‘혁명’을 꿈꾸었던 청년 세대의 일부로 자신들을 정체화하였으며 같은 특성을 공유하고 있었던 점을 깊이 있게 들여다보려 했다. 3.1의 경험은 ‘여자 지사’로서의 자의식을 바탕으로 이어진 그들의 이후 행보와 깊은 연관이 있다. 그들은 각성된 여자들의 연대를 중시했고 기존의 편견과 구습을 타파하고 새로운 세상을 모색하기 위해서는 여성이 ‘혁명적 개인’으로 자리매김하려 스스로를 개조해야 한다고 믿었다. 이에 대한 예시로 이 글에서 자세히 살펴보는 것이 김일엽의 사상과 문학이다. 김일엽은 3.1운동에 참여하여 기미이후의 변화를 느끼고 귀국하여 『신여자』를 창간했다. 이 잡지는 여성의 각성을 도모하려 여성이 주체가 되어 만들고 담론을 주도하는 공적 발화가 가능한 문학장을 형성하려 했으며, 일본 최초 여성 문예지 『세이토』의 여성 필진들과 당시 일본에 수용되었던 아나카 페미니즘의 영향을 받았던 것으로 보인다. 당시 김일엽의 글에 표출되어 있는 것들은 기존의 사고방식을 무화시킨 후 새로운 세상을 실현시키는 ‘가능성 창출’에 대한 치열한 모색이었으며 자각, 수양, 자기 혁신 등을 일관되게 주장하고 있다. 이 시대 여성들의 혁명적 개인으로서의 표상이 되었던 문학작품 속 인물들이 ‘노라’와 ‘잔다르크’인데, 당시 고조되었던 여성해방에 대한 기대와 염원을 그 여성 인물들을 통해 살펴볼 수있다. 그럼에도 3.1운동을 계기로 주목받았던 ‘청년’은 남성으로 성별화된 기호였고 그중에서도 특히 엘리트 남성 집단으로 상정되었다. 이에 젊은- 여성들은 소외되었으며 그들이 도모하려 했던 바 역시 제대로 이해받지 못하거나 좌절되었다. 김일엽의 입산(入山)과 출가 역시 당시에 스캔들로 소비되며 개인적이고 도피적 행위로 치부되어버린 점이 있다. 그러나 김일엽이 불교에 대해 가졌던 관심은 그 뿌리가 깊으며 당시에 곡해되었던 바대로 즉흥적인 염세적 기분에 내린 결정이라고 볼 수 없다. 여러 다양한 시도와 노력에도 사회의 몰이해와 좌절을 겪게 되고 사회적 분위기 역시 암울해진 1920년대 후반 이후 김일엽에게 불교는 독립과 개혁을 이룰 수 있는 방법으로 여겨졌다. 김일엽은 오랜 기간 ‘불청운동’에 참여했으며 이를 청년운동의 한 방법적 일환으로 생각했다. 김일엽이 불교에 귀의하고 입산하기까지의 일련의 과정들은 불교청년운동의 틀과 구도가 재편되는 과정과 그 흐름을 함께 한다. 이런 사실들만 보아도 김일엽이 오랜 기간 불교에 관심을 갖고 불교와 접목시켜 자신의 사상을 발전시켜 나간 것을 알 수 있다. 김일엽에게 불교는 제도와 기존 관념들을 초극할 수 있는 방법으로 모색되었으며, 이는 김일엽이 추구해왔던 내적혁신을 위한 자기수양의 차원에서 이해할 필요가 있다.
The study of the march 1st Movement was conducted in various ways, but it was not addressed in depth how it affected the participants, the nature of the 3.1 movement's experience, or how the experience affected the people of the time. In particular, fewer studies have been done about the March 1 Movement and women. Until now, it has been a general view that first-generation f emale writers were negatively viewed compared to female writers in the 1930s. First-generation female writers need to be more noticed and are meaningful not just because they are women, but because they are part of the "Youth Generation," a symbol of the change of the times, that is mentally awakening by passing the historic event of the March 1 Movement. Their 3.1 movement's experience is often briefly mentioned or simplified in context, and they often remain in a narrow understanding, which needs to be explored more deeply by looking at the circumstances of the time, people's perceptions of reality. The "Youth," which received attention on the occasion of 3.1, was often limited to men, young women were marginalized and their ideas and literature were also poorly understood or distorted. To find examples of that, this study examined Kim Il-yup's discourse and literature. Kim Il-yup participated in the March 1st Independence Movement and published a magazine called 'New Woman' in the light of the subsequent changes in the times. What was expressed in Kim Il-yup's writings at the time was the fierce challenge and grope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change by self-innovation, reconstruction, and self-discipline. For Kim Il-yup, free love and the Joseon Buddhist Youth Movement were ways of mental awakening and social changes. Her literary and life goals were to counteract the prejudices of society and reform people's consciousness.
Files in This Item
Go to Link
Appears in
Collections
문과대학 > 한국어문학부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