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조선 후기 미인도의 영향과 변형 - OCI 미술관 소장 8폭 병풍 《八道美人圖》를 중심으로 -The tradition and style changes of Korean Beauty Paintings in the late Joseon dynasty:Focused on the collection of OCI Museum of 8-Folding screen ‘Paldomiindo’

Other Titles
The tradition and style changes of Korean Beauty Paintings in the late Joseon dynasty:Focused on the collection of OCI Museum of 8-Folding screen ‘Paldomiindo’
Authors
임미현
Issue Date
Mar-2019
Publisher
한국사학회
Keywords
Beauty painting; Paldomiindo; Chae Yongsin; folding screen of Beauty painting; Sin Yunbok; Woman paintings; Ukiyo-e Bijin-ga; 미인도; 팔도미인도; 채용신; 미인병풍; 신윤복; 사녀화; 우키요에 미인화
Citation
사학연구, no.133, pp 381 - 418
Pages
38
Journal Title
사학연구
Number
133
Start Page
381
End Page
418
URI
https://scholarworks.sookmyung.ac.kr/handle/2020.sw.sookmyung/4021
DOI
10.31218/TRKH.2019.03.133.381
ISSN
1225-133X
Abstract
조선 후기 미인도의 영향과 변형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작품으로 OCI 미술관 소장 8폭 병풍《八道美人圖》가 있다. 물론 전대의 전통을 충분히 활용하지 못하고 완전히 도식화, 양식화된 모습을 보여 회화성은 약하나, 제재나 구성면에서 ‘무배경의 단독 기녀입상’이라는 신윤복의 <미인도>를 대표로 하는 조선 후기 미인도의 계보를 잇는다는 점에서 그 의미가 크다. 뿐만 아니라《팔도미인도》는 동시대 중국과 일본의 미인도에서 나타나는 경우처럼 미인도를 세트로 만들어 병풍으로 제작되었다는 점에서 조선 후기 미인도와 다른 특징도 가지고 있어 주목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팔도미인도》를 중심으로 조선 후기 미인도의 영향과 변형에 대해 생각해보고자 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서《팔도미인도》의 성격과 의의를 파악하는 것은 물론 한국과 동아시아의 회화사에서 조선 후기 미인도의 위치를 재조명해 보고자 하는 것이 본 논문의 목적이다. 春意的 기녀 이미지를 그린 ‘무배경의 단독 여인입상’ 형식인 조선 후기 미인도는 총 7작품이 존재하는데,《팔도미인도》는 이들 작품들과 제재나 양식 등 여러 방면에서 공통적인 요소를 보인다. 무배경의 단독 여인입상이라는 점과 안면을 측면으로 틀어 7․8분면으로 표현했다는 점, 전체적인 포즈나 손동작, 여인의 얼굴 윤곽과 복식, 머리모양 등이 유사하다는 점에서 그 영향관계를 찾을 수 있다. 그러나《팔도미인도》는 미인도를 세트화하여 팔도 미인을 시리즈로 표현했다는 점에서는 변형된 모습을 보인다. 미인들을 세트화하여 畵冊이나 병풍으로 제작한 예는 동시대 동아시아 미인도에서도 나타난다. 중국의 경우 명 말에 여러 폭이 한 벌을 구성하는 미인도 제작이 늘어나고 특히 淸初의 궁정회화에는 12폭이 한 세트가 되는 미인도 형식이 화책이나 병풍 형식으로 제작되는 경우가 많았다. 일본의 경우도 중국 명․청시대에 보이는 절기별로 세트화된 풍속미인도가 江戶時代(1603~1868)에 성행한다. 조선의 경우도 시리즈물 혹은 세트화된 미인도가 중국에서 수입되어지거나, 국내에서 모사․모본을 떠 지속적으로 감상되어졌음을 문헌자료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이재관의 미인도 시리즈와 같이 현존하는 예도 찾아 볼 수 있다. 한편, 미인도는 그 용도에 따라 축․첩․권․병 등으로 다양하게 粧䌙되어 제작되었다. 그 가운데 제작비용 면이나 보관에 있어서도 부담이 가장 큰 병풍 형식으로《팔도미인도》가 장황된 것은 조선 후기를 기점으로 병풍이 크게 유행했기 때문으로 보인다. 특히 19세기에 이르러 병풍이 유행한 것은 양반 의식을 갖춘 양인 계층이 증가하면서 병풍을 활용한 의례가 증가한 것과 민간의 문화가 발달하면서 실내 장식과 놀음 무대에 병풍이 활용된 것과 관련이 있다. 따라서《팔도미인도》는 미인도를 일종의 시리즈물로 세트화하여 그려왔던 한․중․일 미인도의 사례를 적용하여 집안이나 술집 및 기방 같은 공공장소의 장식이나 무대 장식용으로 사용되기 위해 병풍으로 제작되지 않았을까 싶다.
8-folding screen ‘Paldomiindo’, a collection of OCI Museum, is a representative piece which shows tradition and transformation of Korean Beauty Paintings of Late Joseon Dynasty. Even though the piece does not fully apply traditional aspect and rather shows stylization and schematization (which makes the piece to be weaker in pictoriality), its content and compositional aspect of ‘Standing painting of single Gisaeng with non-background’ continues a long pedigree of Late Joseon Dynasty’s beauty paintings. Furthermore, ‘Paldomiindo’ shares a similarity with Chinese and Japanese beauty paintings by setting a series of paintings on a folding screen. Unlike other late Joseon dynasty’s beauty painting. This piece contains such uniqueness and significance that must be examined further. Thus, this study will explore tradition and style changes of Korean beauty paintings in late Joseon dynasty along with features of ‘Paldomiindo’. This study’s objective is to reintroduce late Joseon dynasty’s beauty paintings and highlight its significances within Korean/Eastern Asian art history. There are 7 works of beauty paintings with ‘standing painting of single woman with non-background’, and ‘Paldomiindo’ has similar aspects to these paintings with such features like materials and styles. The similarities can be listed:‘standing, single, no background drawings’, face was slightly sided(seven-tenth, eight-tenth side), an overall posture and a hand expression, outline of woman’s face and dress, and hair styles. Features mentioned above certainly shows connections between the paintings. However, ‘Paldomiindo’ differentiates itself from the others by setting a series of paintings into one piece. Cases of collecting beauty paintings into a book and folding screeen can be found in Eastern Asia at the same period of time. In China, numbers of beauty paintings with a format of multiple pictures into one set were increased in late Ming dynasty era. In early Qing dynasty, numerous royal beauty paintings were placed on books and foldings screens with a format of 12 pictures into one set. In Japan, beauty paintings with the arrangement of multiple paintings became prevalent in Edo period(1603-1868). As these paintings were imported to Joseon, they have inspired viewers, and became models to new pieces. Meanwhile, late Joseon dynasty, the time “Paldomiindo” was made, was a time of luxurious trends and extravagant hobbies prevailing throughout society. Interests and social demands to paintings and calligraphic works grew larger in this period of time, and folding screens with paintings of various subjects became popular commodity as a result. Therefore, ‘Paldomiindo’ is created under the influences of social demands that came along with development of luxurious goods (caused by cumulated wealth of late Joseon dynasty) and trends of various subjects of paintings on folding screens. Sin Yunbok’s ‘Miindo’ began tradition of Joseon’ beauty painting, and ‘Paldomiindo’ carries the tradition to late Joseon dynasty while following prevailing styles of Eastern Asia.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문과대학 > 역사문화학과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