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여성 관리자에 대한 조직 내 성희롱 영향요인과 그 결과에 대한 연구The Organizational Context and the Consequences of Sexual Harrassment

Other Titles
The Organizational Context and the Consequences of Sexual Harrassment
Authors
김향아권혜원
Issue Date
Mar-2019
Publisher
한국여성학회
Keywords
sexual discrimination; sexual harrassment; women representativeness; the authority of women managers; discriminatory organizational context; 성차별; 성희롱; 여성 대표성; 여성 관리자 권한; 성차별적 조직맥락
Citation
한국여성학, v.35, no.1, pp 79 - 119
Pages
41
Journal Title
한국여성학
Volume
35
Number
1
Start Page
79
End Page
119
URI
https://scholarworks.sookmyung.ac.kr/handle/2020.sw.sookmyung/4023
DOI
10.30719/JKWS.2019.03.35.1.79
ISSN
1226-3117
Abstract
이 연구는 직장 내 성희롱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조직 맥락과 특성에 초점을 맞추어 어떤 상황에서 성차별과 성희롱이 발생할 수 있는 가능성이 높아지며, 어떠한 조직적 요인들이 성차별과 성희롱의 위험과 발생률을 억제할 수 있는지를 분석하고자한다. 이를 위해 이 논문은 2016년 실시한 6차 여성 관리자 패널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조직 내 성별구성(sex composition), 조직 내 여성대표성, 여성 관리자의 상대적권력과 공식적 권한, 인적자원관리 관행에서의 성차별과 조직문화가 성희롱 피해 가능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조직 내 여성비율이 전체 구성원의 40%이상이면 여성 관리자의 성희롱 경험이 줄어들었으며, 여성의 조직 내 상대적 권력과 공식적 권한이 클수록 여성 관리자의 성희롱 피해 가능성이 감소하였다. 그러므로 이 연구는 여성 관리자들이 수량적 대표성을 띠는 차원을 넘어서서 조직 내 유리천장을 극복하고 의사결정의 실질적 권력과 공식적 권한을 갖는 것이 조직 내 성차별, 성희롱 가능성을 줄이는 데 핵심적 역할을 한다는 점을 제시한다. 또한 이 연구는 직장 내 성차별 성희롱에 대한 조직 맥락과 직무환경 관련 변수들의영향력을 강조하고자 하였는데, 분석 결과 성차별적 인적자원관리 관행과 비지원적(unsupportive) 조직문화가 성희롱 발생가능성을 증대시키는 것으로 나타나 그와 같은 가설과 주장이 입증되었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는 직장 내 성희롱에 영향을 미치는 조직 변수들을 규명하는 것뿐만 아니라 성희롱 피해 경험이 조직성과에 미치는영향을 규명하는 통합적 접근을 시도하였다. 분석 결과, 성희롱 피해 경험이 많을수록 구성원들의 직무만족도와 조직몰입이 감소하고 이직의도가 증대하는 것으로 나타나 성희롱 경험이 피해자 개인의 심리적 육체적 건강의 손상과 고통을 야기할 뿐만 아니라 조직성과에도 부정적 영향을 끼친다는 것이 입증되었다. 이는 직장 내 성희롱 성차별을 해소하기 위한 조직적 차원의 정책과 제도, 실천적 노력이 절실히 요구된다는 점을 시사한다.
In this article we focus our analytical attention on the elements of organizational context to identify the factors that increase or reduce the possibilities of sexual harrassment. For this, this study uses the 2016 Women Managers Panel Data to analyze the effects of sex composition, women representativeness, the relative power and authority of women managers, and the discriminatory HR practices and culture on women’s sexual harrassment experience. The results show that women are less likely to experience sexual harassment in organization where they are over 40% of total constituencies. Their subjective experiences of sexual harrassment also decrease when women have relatively more power and formal authority. Hence this research demonstrates that the experience of sexual harrassment in organizations is less likely when women overcome the token status. More significantly,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pport the fact that the power and authority of women in decision making are essential in reducing the likelihood of sexual discrimination and harrassment. This research also tries to explore the impact of work-related variables on sexual harrassment. The findings show that both the discriminatory HR practices and unsupporitive organizational culture increase the likelihood of women’s sexual harrassment experience. Lastly, this research analyzes the impact of sexual harrassment on work-related outcomes, and provide evidence for its negative effect on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employees. Thus, the experience of sexual harrassment are not only detrimental for the survivors’ physical and psychological health but are also harmful to the organizational outcomes. These empirical findings call for the need of organizational policies and practices to exterminate sexual harrassment in the organizations.
Files in This Item
Go to Link
Appears in
Collections
경상대학 > 경영학부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