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불교 설화 ‘무영탑 전설’의 문예적 수용 계보 연구A Study on the literary variation genealogy of the Buddhist legend ‘MUYEONGTAP’

Other Titles
A Study on the literary variation genealogy of the Buddhist legend ‘MUYEONGTAP’
Authors
김병길
Issue Date
Dec-2018
Publisher
한국불교선리연구원
Keywords
romance; legend ‘MUYEONGTAP’; historical novel; historical drama; Korean classical opera of women; historical film; 로맨스; 무영탑 전설; 역사소설; 역사극; 여성국극; 역사영화
Citation
禪文化硏究, v.25, pp 143 - 176
Pages
34
Journal Title
禪文化硏究
Volume
25
Start Page
143
End Page
176
URI
https://scholarworks.sookmyung.ac.kr/handle/2020.sw.sookmyung/4091
DOI
10.24956/SSC.25.5
ISSN
1975-857X
Abstract
본고는 불교 설화 ‘무영탑 전설’의 문예적 수용 계보에 관한 연구다. 무영탑 전설이 대중적인 문화콘텐츠로 확산된 결정적 계기는 극단 고협의 <無影塔> 공연이었다. 이 공연은 현진건의 소설 <無影塔>을 함세덕이 각색한 대본을 통해 이루어졌다. 본고에서는 함세덕의 각색과 그 공연을 기점으로 무영탑 전설이 다양한 장르 및 매체로 극화될 수 있었던 원천을 밝히고자 했다. ‘佛國寺古今創記’에 기록된 무영탑 전설은 식민지시기 오사카 긴타로의 「慶州の伝説(三)」에서 비련의 모티프가 일차로 구축되었다. 이어 하마구치 요시미쓰의 희곡 <無影塔朝譚(一場)>을 거치며 등장인물들의 형상이 보다 더 구체화되고 예술지상주의 화소(話素) 역시 한층 강화되었다. 현진건은 소설 <無影塔> 창작 과정에서 이들 텍스트를 일종의 저본으로 삼아 아사달과 아사녀를 부여 사람으로 수정한 후 주만과 경신, 그리고 금지 사이의 삼각관계에 민족주의 이념을 투영시키는 등 도발적인 서사 변개를 꾀했다. 한편 함세덕은 역사극 <無影塔>에서 아사달과 아사녀의 만남을 성사시킴으로써 아사달의 사랑과 예술혼을 종교에 귀의시킨다. 이후에도 소설 『無影塔』은 진경국극단의 창극 <無影塔>, 신상옥 감독의 영화 <無影塔> 등으로 각색되기에 이른다. 이들 텍스트 및 공연 사항에 분석에 근거하건대, ‘역사성이 거세된 역사로맨스’로 변주됨으로써 무영탑 전설이 대중서사로 확산될 수 있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Files in This Item
Go to Link
Appears in
Collections
대학 > 기초교양대학 > 기초교양학부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Kim, Byoung Gill photo

Kim, Byoung Gill
기초교양대학 (기초교양학부)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