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고려초 탄문의 불교계 활동과 보원사Tanmun and Bowonsa-temple in Early Goryeo

Other Titles
Tanmun and Bowonsa-temple in Early Goryeo
Authors
정병삼
Issue Date
Dec-2018
Publisher
한국사학회
Keywords
탄문; 균여; 현휘; 교종; 화엄종; 기도; 승과; 왕사; 국사; 보원사; Tanmun; Gyunyeo; Hyeonhwi; Gyojong-doctrinal school; Hwaeom school; praying power; monastic examinations; Wangsa-teacher of the King; Guksa-teacher of the state; Bowonsa
Citation
사학연구, no.132, pp 313 - 344
Pages
32
Journal Title
사학연구
Number
132
Start Page
313
End Page
344
URI
https://scholarworks.sookmyung.ac.kr/handle/2020.sw.sookmyung/4105
DOI
10.31218/TRKH.2018.12.132.313
ISSN
1225-133X
Abstract
고려초 광종대는 고려불교의 운영 체계가 갖추어지던 중요한 시기이다. 승과(僧科)를 시행하여 합격한 승려에게 교종과 선종으로 구분된 승계(僧階)를 주어 주지 등 교단의 중심 인물로 활동할 수 있도록 했고 후일 별사과(別賜科)의 경제적 기반을 받을 토대도 만들었다. 고승들은 왕사와 국사로 초빙하여 우대하기도 했으며, 사상적으로는 선과 교를 아우르는 경향을 적극 후원하기도 했다. 법인(法印)국사 탄문(坦文)은 이와 같은 교단 형성기에 교종의 중심 인물로 활동했다. 탄문은 화엄종 출신으로 사상적으로 큰 역량을 발휘했던 균여(均如)와의 각축 관계 속에서 교단 운영의 한 중심을 이루었다. 탄문과 균여의 행적과 사상적 경향은 상호 대비되는 면모를 보인다. 둘 다 신이한 능력으로 왕권과 연결된 점은 동일하다. 탄문은 광종 탄생 기도와 해충 퇴치, 태자를 위한 천불도량 기도 등 신이한 기도 능력을 발휘했고, 혜종 즉위시의 경찬법회 주관과 정종 즉위시의 구룡산사 법회 법주 및 내도량 대장경법회를 주관하는 등의 활동으로 교종 출신으로는 처음으로 왕사와 국사에 책봉되어 교학 활동보다는 기도와 강설에 관련된 족적을 주로 남겼다. 탄문이 왕사에 책봉될 때 선종의 혜거(惠居)가 국사에 책봉되었다. 이는 과거제 실시와 더불어 시행된 승과와 교단의 운영을 교종과 선종의 두 축으로 의도한 것과 밀접한 연관을 갖는다. 균여 또한 왕비의 치병에 관여하고 장마를 중지하는 강연과 벽력을 중지하는 기도 등 신이한 활동도 보였으나, 화엄초기 교학의 중심 전적을 강의하고 저술을 펴내 신라 화엄학을 종합 체계화하고 화엄절대주의 사상을 제시하였다. 탄문이 교종의 중심 인물로 활동했지만 사상면에서 적극적인 교선일치 경향을 보인 흔적은 찾기 어렵다. 고려 전기의 선교일치를 모색하는 주도적인 분위기에서 탄문이 이를 적극 제창했던 전거는 명확하지 않다. 탄문의 활동 근거지는 개경의 구룡산사(九龍山寺)와 서산 보원사(普願寺)였다. 혜종과 정종대에는 개경 가까운 구룡산사에서 활동하며 왕실과 긴밀한 관계를 가졌으나, 탄생부터 밀접한 관계를 가졌던 광종대 초반에는 보원사에 머물며 광종의 안정된 왕권 운영을 위한 기도와 불사에 치중하였다. 만년에 왕사로서 개경의 귀법사(歸法寺)에서 활동했고, 입적에 즈음하여 다시 보원사에 내려왔다. 보원사는 화엄십찰의 하나로 신라말 관단(官壇)이 설치된 주요 사원으로서, 탄문은 이곳에서 화엄 강학 활동을 하며 사원 경영에도 힘을 기울였다. 광종 초반에 탄문이 삼존금불과 석탑을 조성한 곳은 보원사로 판단되며, 탄문이 광종의 원만한 국사 운영을 위해 조성했던 불상과 석탑의 존재는 불교 조형사상 큰 의미를 갖는다.
The period of King Gwangjong in early Goryeo, the Buddhist operating system was established. The Buddhist monastic examinations was held for the first time, and those who passed this examinations were given the dharma ranks, and the ranks were devided to Gyojong, doctrinal school, and Seonjong, meditation school. They could get the head position of temples and important roles in Buddhist order. Even they got economic properties afrer. King Gwangjong held preferential treatments to venerable monks and supported new trends of harmonious thought which combound Gyo and Seon. Tanmun lived very actively during this period. He was a most important monk of Hwaeom school. And he competed with Gyunyeo who wrote several important notes of Hwaeom thought. Tanmun and Gyunyeo compared in religious life and academic activity. They also had eccentric powers which joined to King. Tanmun showed eminent praying power in birth of prince, get rid of harmful insects and pray for crown prince. And he took the lead in Buddhist council which celebrating accession to the throne of King Hyejong and Jeongjong, and Buddhist council of Tripitaka held at palace. Tanmun was the first monk who became the Wangsa, teacher of the King and Guksa, teacher of the state in doctrinal school. When he became the Wangsa, Hyegeo of meitation school became the Guksa. This situation means that monastic examinations and the Buddhist operating system were operated with two branches of Gyojong and Seonjong. Gyunyeo also had a relationship with royal family to treat Queen’s disease and stop the continuous rain and lighting. And he wrote several important Hwaeom notes and established organization of Hwaeom thought and presented with the idea of the Hwaeom absoluteism. Tanmun showed the most important activity of doctrinal school, but it is hard to find the new trend of harmonization of Gyo and Seon even the general trends of early Goryeo Buddism was the harmonization of them. Tanmun lived hje most life at Guryongsansa temple near Gaegyeong and Bowonsa temple in Seosan of Chungcheong province. In the periods of King Hyejong and Jeongjong, Tanmun lived at Guryongsansa and connected with royal court. But in King Gwangjong’s period, he lived at Bowonsa which is far away from royal court. In Bowonsa, Tanmun made Buddhist statue and pagoda to pray for King Gwangjong. In late life he lived at Gwibeopsa as a Wangsa, and retired to Bowonsa and died. Bowonsa was one of most important temple of Hwaeom, and in Silla period there was a state vinaya system. Tanmun lectured in this Bowonsa, and he put forth great effort to manage the temple. In early King Gwangjong’s period, Tanmun made Buddhist statue and pagoda at this Bowonsa. So the eminent evidence of making objects of Buddhist service which connected to royal court is a meaningful event.
Files in This Item
Go to Link
Appears in
Collections
문과대학 > 역사문화학과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