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성관계에서의 데이트폭력 피해경험과 성적자기주장, 폭력허용도와의 관계Dating Violence Victimization, Sexual assertiveness, and Acceptability of Violence in Same Sex Relationship.
- Other Titles
- Dating Violence Victimization, Sexual assertiveness, and Acceptability of Violence in Same Sex Relationship.
- Authors
- 김수연; 김민지
- Issue Date
- Nov-2018
- Publisher
- 인문사회과학연구소
- Keywords
- sexual minority; dating violence; physical violence; psychological violence; sexual violence; outing; sexual assertiveness; acceptability of violence; 동성관계; 데이트폭력; 신체적폭력; 심리적폭력; 성적폭력; 아웃팅; 성적자기주장; 폭력허용도
- Citation
- 인문사회과학연구, v.19, no.4, pp.489 - 523
- Journal Title
- 인문사회과학연구
- Volume
- 19
- Number
- 4
- Start Page
- 489
- End Page
- 523
- URI
- https://scholarworks.sookmyung.ac.kr/handle/2020.sw.sookmyung/4169
- DOI
- 10.15818/ihss.2018.19.4.489
- ISSN
- 2093-8780
- Abstract
- 본 연구는 국내 성소수자들의 데이트폭력 피해실태를 파악하고, 데이트폭력 피해를경험한 성소수자와 데이트폭력 피해를 경험하지 않은 성소수자 간의 성적자기주장 및폭력허용도의 수준에 차이가 나타나는지 확인하는 것이 목적이다. 연구대상자는 전국의 대학교 성소수자 동아리 회원과 온라인 성소수자 커뮤니티 회원으로 동성관계 경험이 있는 238명의 참여자들을 대상으로 데이트폭력 피해경험에 대해 설문을 실시했다.
동성관계에서 겪은 데이트폭력 피해경험의 유무와 데이트폭력의 유형을 신체적 폭력, 심리적 폭력, 성적 폭력, 아웃팅으로 나누어 유형별 피해경험에 따른 성적자기주장과 폭력허용도 수준을 측정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네 가지의 데이트폭력유형은 서로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데이트폭력 피해를 경험한 남성 성소수자는 데이트폭력 피해를 경험하지 않은 남성 성소수자에 비해 유의미하게 낮은 성적자기주장 수준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심리적 폭력 피해경험이있는 경우는 경험이 없는 경우보다 성적자기주장 수준이 유의미하게 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데이트폭력 피해를 경험한 성소수자와 데이트폭력 피해를 경험하지 않은 성소수자의 폭력허용도 수준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탐색적인연구 결과를 통해 보다 심층적인 후속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논의 및 후속 연구에 대한 방향을 제안하였다.
- Files in This Item
-
Go to Link
- Appears in
Collections - 사회과학대학 > 사회심리학과 > 1. Journal Articles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